반응형

All That Review 1708

바디 에이리언 - 비주류 감독의 상업적 타협점

신체 강탈자들 시리즈 No.3 '저예산 영화의 마틴 스콜세지'로 불리우는 아벨 페라라 감독은 [킹 뉴욕], [스네이크 아이] 등의 작품을 통해 작가주의 영화의 신성(新星)으로 떠오른 인물이다. 그는 주류 영화계의 정형성에 정면으로 대항하여 자신만의 폭력적인 스타일을 고집해 고유의 매니아층을 형성한 몇안되는 감독이기도 한데, 그런 그에게 '신체 강탈자들'의 세 번째 리메이크작인 [바디 에이리언]의 제의가 들어온 것은 의외의 일이었다. [바디 에이리언]은 2천만 달러의 제작비가 책정된, 당시로선 대형 프로젝트로써 그간 저예산 영화계에서 작업한 페라라 감독에게는 코드가 맞지 않는 영화였다. 더군다나 이미 두차례나 제작된 이상, 원작의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했으며 이는 아벨 페라라가 그동안 추구했던 정형성의 탈피..

메타 블로그에서 내 순위를 알아봤다

오랫만에 블로그코리아에 놀러갔더니 블로그코리아의 랭킹 서비스가 새로 생겼단다.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진 랭킹 서비스인데, 하나는 블코랭킹이라고 블코에 가입된 전체 블로그의 순위를 1위~500위까지 매긴것이다. 또 하나는 월간 톱 130이라는 건데, 이건 13개로 나뉜 분야별로 각각의 분야에 톱 10을 뽑아 선정한 것이다. 블코내에서 점수를 매기는 '생산력 지수', '커뮤니케이션 지수', '인기도 지수' 등 3대 지수를 기초로 산정한 순위라는데, 페니웨이™의 블로그는 몇위나 했나 봤더니, 역시나 블코랭킹 50위 안에는 어림도 없나보다. 전체 67위를 했다. 그러나 월간 톱 130 중 영화/연예 섹션에는 8위에 랭크되어 간신히 톱 130안에는 들었다. 나름 기분은 좋다. 궁금한 김에 다른 메타 블로그도 기웃거..

외계의 침입자 - 디테일이 강화된 신체 강탈자들

신체 강탈자들 시리즈 No.2 *주의: 본 리뷰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원작과는 다른 결말의 반전이 아주 큰 특징임으로 다른 곳의 리뷰를 접하실때 스포일러를 절대 조심하고 영화를 감상할 것을 권합니다. '신체 강탈자들'의 두 번째 작품 [외계의 침입자(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 1978) - 비디오 출시명은 오리지널과 같은 [우주의 침입자]였으나, 본 리뷰에서는 편의상 원작과의 구분을 위해 EBS TV방영명 [외계의 침입자]를 택했다 - 는 '오리지널에 버금가는 리메이크'란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우주의 침입자]가 다분히 사회,정치적 메시지를 함축한 반면, [외계의 침입자]는 보다 원작의 공포스러운 분위기에 초점을 맞추어 관객들에게..

우주의 침입자 - 미국의 시대상을 반영한 걸작 SF 스릴러

신체 강탈자들 시리즈 No.1 *. 주의! 본 리뷰는 영화의 줄거리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화의 내용을 미리 알기 원치 않으시는 분은 읽지 마시길 권합니다. [인베이젼]의 개봉을 앞두고 잭 피니의 소설 '신체 강탈자들(The Body Snatchers)'을 원작으로 한 작품들을 회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무엇이 이 작품을 4차례나 영화화하게 만들었을까? 한 작품이 리메이크되는 경우도 흔한 일은 아니지만 자그마치 4번이나 리메이크 된 전례없는 기록을 세운 이 작품은 B급 영화계에서 두각을 나타낸 돈 시겔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그 작품이 바로 [우주의 침입자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다. 주로 실험적 성향이 강한 작품을 선보였던 돈 시겔은 당시의 미국 사회..

박스오피스 모조에서 살펴본 [디 워]의 초반상황

드디어 최초로 북미 와이드 개봉을 시작한 [디 워]에게 다시금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 같다. 아직 정확한 수익률 데이터가 나오지 않았기에 두근두근하는 심정으로 지켜보고는 있는데, 박스오피스 모조에서 [디 워]에 대한 두 가지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먼저 '[디 워]를 보겠느냐'는 설문조사의 결과다. 현재 설문은 끝났고 1,273이 투표에 참가한 가운데 43%가 '보지않겠다'고 답해 약간의 실망을 주고 있다. 반면 '개봉첫주에 관람하겠다'와 '언젠가는 극장서 보겠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16%와 12.2%로 역시 크게 고무적인 수치는 아니다. 그러나 DVD로 관람하겠다는 응답자가 21.5%에 달하는 것으로 보아 블록버스터 분위기의 영화라도 지명도가 떨어지는 작품은 아무래도 DVD쪽을 택하는 관..

기동전사 Z건담: 극장판 - 백일몽으로 끝난 팬들의 염원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No.9 Z건담, 그 후 20년 토미노 감독의 [Z건담]이 첫 선을 보인 것이 1985년. 지금으로부터 약 20년전의 일이다. 사실상 [Z건담]은 건담의 상업적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작품으로서 토미노의 성향이 가장 잘 묻어난 작품이기도 하다. [Z건담]에 대한 애착은 토미노 감독뿐 아니라 팬들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퍼스트 건담]과 [역습의 샤아]가 극장판으로 공개되었던만큼, 팬들은 세월이 흐르더라도 [극장판 Z건담]이 언젠가는 토미노의 손에 의해 만들어지리라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그러나 이같은 바램은 좀처럼 실현되지 않았다. 팬들의 염원과는 달리 토미노는 [역습의 샤아]이후 1세대 건담을 탈피하려는 성향을 보였고, 실제로 [턴A 건담]에 이르러 그 경악스..

바비 - 로버트 F. 케네디 암살의 현장

정치가, 또는 정계를 무대로 다룬 영화는 대체로 재미있다. 일반인들에게는 알려지지 않는 그들만의 세계에서 펼쳐지는 암투와 배신, 음모의 과정은 평상시 사람들이 품고 있던 정계의 뒷모습을 파고들기 때문이다. 워터게이트 사건을 다룬 [대통령의 음모]나 존 F. 케네디 암살의 진상을 파헤치는 [J.F.K], 미소 양국이 일촉측발의 상황에 치닫는 쿠바 미사일 사태를 그린 [D-13] 등 대부분의 정치적 소재를 다룬 영화들은 관객들의 궁금증을 해소함과 동시에 그럴싸한 서스펜스를 제공함으로 영화적 재미를 갖추고 있다. [바비]는 존 F. 케네디의 동생이자 유력한 대통령 후보였던, 로버트 F. 케네디의 암살을 다룬 영화다. 따라서 필자는 처음에 [J.K.F]급의 미스테리성 짙은 정치 스릴러물이 탄생할 줄 알았다. 그..

보관함 2007.09.13

일본 블로그에서도 내 사이트를 링크한다

오늘 평상시 방문자보다 유입수가 조금 증가했다. 엊그제 블로거 뉴스의 해드라인에 실린게 원인인가 싶어 리퍼러 기록을 살펴보았더니 왠걸~ blog.goo.ne.jp/katachi4119 여기서 줄기차게 들어오고 있는거다. 주소로 보아하니 일본 사이트 같아서 찾아들어갔더니 역시나, 일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였다. 이병헌 사진으로만 가득 차 있는 것으로 보아 뵨사마 팬사이트쯤 되는것 같다. 암튼 어떻게 내 블로그를 찾았는지, 몇일전 이병헌, 이미연 주연의 [중독]을 리메이크한 [포제션] 예고편 동영상 포스팅을 찾아 링크를 걸어주어 지금도 제법 많은 수의 방문자가 들어오고 있다^^ 이쯤되면 일본인들을 위한 번역기 플러그인도 설치해 볼까? 블로그에 세계에 빠진지도 어언 석달째. 다국적으로 관심사를 찾아들어오는 사람..

브이 - 태권브이의 슬픈 부활

여러분 중에 최규석이라는 신인 만화가가 그린 단편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를 기억하는 분이 있는가? 김수정의 빅 히트작 [아기공룡 둘리]에 바치는 오마주이긴 해도, 태생이 명랑만화였던 원작과는 너무나도 대조적인 비극적인 구성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줬던 작품이다. 경제란의 여파로 생활자체가 살벌한 전쟁터가 되어 버린 현실을 반영해서인지 더욱 소름끼치게 와닿았던 것일까. 현실앞에선 명랑만화도 없다는 충격적인 설정의 팬팩션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브이]역시 앞서 소개한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와 비슷한 맥락을 지닌 작품이다. 바로 애니메이션 [로보트 태권브이]를 모티브로 한 팬픽션인 것이다. 애초에 제피가루라는 신인작가가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공모전에 4회분량의 단편극으로 선..

'중독' 의 헐리우드 리메이크작, 포제션(Possession)

[The Lake house (시월애)], [My Sassy girl (엽기적인 그녀)]에 이어 헐리우드의 한국영화 리메이크작인 [포제션]의 예고편이 공개됐다. [포제션]은 이병헌, 이미현이 주연한 미스테리 멜로물 [중독]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25만달러에 판권이 팔려 헐리우드에서 새롭게 제작되게 되었다. 같은날 발생한 불의의 교통사고 이후 형의 기억을 소유하게 된 시동생으로 인해 혼란을 겪으면서 그 사고의 배후에 도사리고 있는 음모와 맞서는 한 여인의 이야기로 전체적인 플롯은 [중독]을 그대로 가져왔으나 스릴러적인 요소를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이미연이 맡았던 형수역에는 '호러퀸' 사라 미셸 겔러가 출연하며 이병헌이 연기했던 시동생역에는 주로 단역과 TV드라마에 출연했던 리 페이스란 배우가 맡았다.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