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일이 왜 안오나 했더니....

거의 방치된 상태이긴 하지만 지인이나 그 밖에 다른 외부에서 간혹 원고 요청이나 그런 문의가 admin@pennyway.net 으로 들어 오곤 하는데 최근 몇달간은 그런 메일이 끊기다시피해서 이젠 잊혀진 존재가 되었나 보다.... 했다. 근데 어떤 지인분이 메일이 안간다는 얘길 비밀댓글로 달아주기도 했고 나 자신도 네이버 메일로 admin 계정에 메일을 보내봤더니..... 계속 발송중으로만 뜨고 메일이 도착하질 않는다. 이상하네? 그... 지금까지 스팸 말고는 차단한 건 없으니 혹시라도 메일 보냈는데 답장이 없거나 반송이 되더라.. 하는 분들.. 오해 마시길 ㅠㅠ P.S: 해결한 것 같다. 1.구글의 워크스페이스가 유료화 전환되면서 다시 무료화...를 오락가락 하는 그 와중에 구글에서 뭔가를 건드려 놓은..

DVD-VCR 콤보 자가 수리기

필자는 집에 VCR 기기가 4대 있다. 뭐랄까... 이렇게 없는 집 살림에 많은 기기를 들여놓게 된 이유는 사실 [카우보이 비밥]의 에피소드 18화 '10년 후의 나에게'가 큰 영향을 주었는데, 해당 에피소드에서 베타맥스와 VHS의 규격차이를 모르는 주인공들이 재생기기를 찾아 개고생(...)하는 모습을 보면서, 언젠가는 저렇게 구시대의 기기들을 구하는 일이 점점 힘들어지겠다...는 뻘생각이 듦과 동시에 예비용 기기를 확보해두려는 욕심이 결합해서 그런 것이다. 여튼 그래서 집에는 LG의 구형 VHS전용 기기 한대와 슬슬 맛이 가려고 하는 소니 VHS전용 기기, 그리고 삼성에서 나온 DVD-VHS 콤보 2대가 있다. 요즘 주력으로 사용하는 녀석이 아래의 기기인데, 아마도 VHS에서 DVD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더빙의 맛 : 블루썬더 - 시대를 앞서간 헬기 액션 스릴러

더빙의 맛 No.4 어렸을 땐 로보트에 환장하고… 뭐 우리 어렸을 때야 [트랜스포머] 같은 실사영화가 나올리 만무했으니 상대적으로 비슷한 류의 “high-technology vehicle” 장르가 인기를 끌었죠. 가령 [출동! 에어울프] 라든가 [전격 Z작전]이라든가 아님 [검은 독수리] 같은 작품들은 항상 꼬꼬마들 사이에서 화두가 되곤 했어요. 특히 [출동! 에어울프]는 특수 헬리콥터를 이용한 액션 활극이 대단한 관심을 끌었는데, 사실 이 장르의 작품으로는 또 다른 경쟁자(?)가 있었어요. [출동! 에어울프]가 안방 TV의 강자였다면 극장의 강자는 바로 [블루썬더] 였지요. 존 바담 감독의 1982년작 [블루썬더]는 전투형 헬기를 소재로 한 경찰영화로 TV 시리즈인 [출동! 에어울프]와는 다른 스케일에..

더빙의 맛 2023.05.18 4

더빙의 맛 : 백투더 퓨쳐 - 세 번이나 재더빙된 시간여행물

더빙의 맛 No.3 시간여행을 다룬 영화들은 참 많습니다만 이 영화만큼 세계적인 히트를 한 작품도 없을 겁니다. 바로 1985년작 [백투더 퓨처] 입니다. 한국에서는 2년이 지난 1987년에서야 국내 최대규모의 극장인 대한극장에서 개봉하였지요. 개봉이 미뤄지게 된 건 다들 짐작하듯이 “그 설정”에 대해 한국 사회에서 불편하게 생각한 덕분이고 (그렇다고 2년 뒤에 개봉하면 뭐가 바뀌나…? 비윤리적인게 윤리적인게 되고 막...), 당시 흥행보증수표와도 같았던 스티븐 스필버그의 이름을 팔아 마치 스필버그 감독의 작품인 것마냥 홍보를 했더랬지요. 전 사실 그 당시에 이 작품보다도 같은 시기 개봉한 [록키 4]에 더 끌렸습니다만… 여튼 이 작품은 흥행에도 대성공을 거뒀으며 2편의 국내 개봉을 앞둔 1990년에 K..

더빙의 맛 2023.05.05 8

[謹弔] 한국 SF만화의 아이콘 고유성 화백, 영면 하시길...

뉴스 어디를 찾아 봐도 소식을 찾을 수 없었다. 고유성 화백의 부고. 어느 인터넷 카페를 통해서야 뒤늦게 알게 된 소식. 빈소도 없이 홀연히 떠난 그는 한 때 한국 만화계의 SF장르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였다. 요즘 시대에서는 그저 표절작 정도로 취급받을테지만 그의 대표작 [로보트킹]은 [로보트 태권브이]에 버금가는 인기작이었다. 그뿐이랴. [번개기동대], [혹성로봇 델타], [기갑경찰 타이푼], [우주패트롤] 등 그의 SF에는 한결같은 해학과 나름의 센스가 곁들여져 있었다. 1990년대를 기점으로 일어난 세대교체의 흐름과 한국만화시장의 몰락으로 인해 그와 동시대에 활약했던 여느 작가들처럼 어느덧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졌지만 그럼에도 [로보트킹]의 작가로서 고유성의 이름은 아직도 많은 팬들의 뇌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