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899

괴작열전(怪作列傳) : 나이트 오브 레퍼스 - 실소가 터지는 거대 토끼의 습격

괴작열전(怪作列傳) No.134 여러분은 흔히 '토끼'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십니까? 별주부전의 토끼? 이솝우화 속 토끼와 거북이? 엽기토끼 마시마로? [개그만화 보기 좋은날]의 명탐정 우사미? 뭐 아무거나 좋습니다. 다양한 토끼의 이미지를 떠올리시겠지만 이 동물이 인간에게 해를 끼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 분은 안계시겠죠. 어디까지나 토끼는 온순하고 겁이 많은 동물이니까 말입니다. 하지만 이 녀석들이 정말로 위협적인 존재라는 걸 입증한 실제 사례가 있습니다. 바로 호주의 '토끼 흑사병 The Rabbit Pest '사건입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지금으로부터 약 150년 전인 1859년, 영국에서 호주로 이민을 온 토마스 오스틴은 호주에 사냥감이 부족하다며 사촌에게 야생토끼를 보..

속편열전(續篇列傳) : 스타트렉 II: 칸의 분노 - 스타트렉 최고의 극장판

속편열전(續篇列傳) No.27 지금까지 12편의 극장판과 725개의 TV판 에피소드를 배출하고, 수많은 팬픽션과 팬무비를 양산시킨 [스타트렉] 시리즈는 [스타워즈]와 더불어 SF계의 전설과도 같은 작품이지만 사실 극장판의 역사만을 놓고 보면 승승장구만 해온 것은 아닙니다. 당장 극장판 1편만 봐도 트레키들을 제외한 대중과 평단의 평가자체는 썩 좋지 못했지요. 의욕적으로 시작한 [스타트렉] 극장판의 결과물만 놓고 보자면 2편의 성공을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습니다. [스타트렉]의 마니아들은 좋아하겠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환영받지 못하는… 그런 불완전한 상업영화에 거액을 쏟아붓기엔 파라마운트에 상당한 부담이 되었을 겁니다. 아마 이 같은 딜레마는 J.J. 애이브람스의 [스타트렉: 더 비기닝]이 ..

[블루레이] 레고: 배트맨 더 무비 - 레고무비의 색다른 매력

페니웨이™ (admin@pennyway.net) 시대를 초월하는 베스트셀러가 있다. 가령 의약품엔 아스피린이 있고 음료수엔 코카콜라가 있으며 책엔 성서가 있듯이 완구 중에는 덴마크의 자존심인 레고 블록이 있다. 아마도 유년시절 레고를 접해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보는데, 알록달록한 작은 블록들을 연결해 원하는 그 어떤 것도 만들어낼 수 있는 레고야말로 시대와 국경을 초월하는 발명품이 아닐 수 없다. 80년이 넘는 세월을 거치며 여전히 식지 않는 열기를 자랑하는 레고의 가능성은 최근 영상매체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 이를테면 레고에서 만든 일종의 애드무비인 [레고 인디아나 존스]나 [레고 스타워즈: 한 솔로 어페어], [레고 반지의 제왕] 등 각종 블록버스터의 패러디 단편영화가 큰 인기를 모았고 이와..

스타트렉: 다크니스 - 마니아와 일반관객 모두에게 만족스런 영화

◎ 본 리뷰는 영화주간지 에 송고한 원고를 블로그에 맞게 리뉴얼한 글입니다. 유명 작품을 리부트 혹은 리메이크 한다는 건 쉬운일이 아니다. 기존 팬들의 거센 반발은 말할 것도 없고, 과거의 유산을 새롭게 단장한다고해서 새로운 팬들이 유입된다는 보장도 없다. 소재고갈에 허덕이는 시기에 손쉽게 아이디어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쉽게 얻는건 그만큼 큰 리스크를 동반하는 법이다. SF사상 최장수 프렌차이즈인 [스타트렉]의 새로운 극장판이 만들어진다고 했을 때 전세계의 트레키들은 [스타트렉: 네메시스] 이후 무려 7년 만에 돌아오는 [스타트렉]의 새 극장판에 귀가 솔깃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그도 그럴것이 [스타트렉: 더 비기닝]은 1964년에 시작된 오리지널 시리즈의 캐릭터..

아이언맨 3 - 아이언맨이 아닌 토니 스타크의 이야기

2편부터였나요? [아이언맨]이 심각할 정도로 위태로워보였던게 말입니다. 사실 존 파브루가 연출과 조연을 겸한 [아이언맨]은 마블 히어로즈의 영화판 세계관 구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작품이었습니다. 문제는 거기에 있었죠. [아이언맨 2]가 [어벤져스]를 위한 블록버스터급 예고편이 되어버린 탓에 이 개성있는 히어로물은 본연의 맛을 잃었습니다. 아마도 [어벤져스]에 거는 기대가 컸던 마블측의 입김이 상당히 작용했을거라 봅니다만 적어도 성공한 프렌차이즈의 감독이라면 이를 적당히 무마시킬줄도 알아야죠. 어쨌거나 [아이언맨 2]를 버린 덕분인지 [어벤져스]에서의 아이언맨은 본편보다도 더 매력적으로 그려지긴 했습니다만. [아이언맨 3]는 [어벤져스] 이후를 그린 첫번째 슈퍼히어로 영화입니다. 전 사실 이 부분이 매우..

영화/ㅇ 2013.05.02

괴작열전(怪作列傳) : 오블리비언 - B급 SF 웨스턴 무비의 정수

괴작열전(怪作列傳) No.133 요즘 톰 크루즈와 모건 프리먼 주연의 [오블리비언]이 화제입니다. 예고편이 전부라는 얘기에서부터 여러가지 장르적 재미가 잘 혼합된 SF라는 얘기까지 다양한 평을 얻고 있는데요, 오늘 괴작열전에서는 이 영화를.........은 훼이크고, 조금 다른 [오블리비언]에 대해 다룰까 합니다. 바로 1994년작 [오블리비언]입니다. 이 작품을 소개하기에 앞서, 일전에 소개했던 [카우보이 & 에이리언]이라는 영화를 기억하실지 모르겠네요. 서부개척시대에 외계인의 습격을 받고 이를 퇴치하는 카우보이들의 이야기라는 다소 아스트랄한 소재에 초특급 헐리우드 배우들이 출연한 SF웨스턴 말입니다. 그때도 언급했습니다만 웨스턴이라는 장르물에는 비교적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고 그 중 한 줄기가 바..

고전열전(古典列傳) : 시민 케인 - 영화사상 최고의 걸작, 그리고 맥거핀

고전열전(古典列傳) No.27 아마 영화를 자주 보시거나 영화지식에 어느 정도 해박한 분들이라면 '맥거핀 MacGuffin'이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다른 말로는 '떡밥'이라는 용어와도 혼용해서 쓰이는 듯 한데요, 떡밥과는 약간 다르긴 하지만 '관객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그 무엇' 이라는 점에서 그럭저럭 일맥상통합니다. 원래 이 맥거핀이라는 말은 스릴러의 거장 알프레드 히치콕이 창안한 단어로서 그 스스로도 영화상에서 수많은 맥거핀을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테면 [싸이코]에서 자넷 리가 가지고 튄 돈가방이라든지,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에서 주인공이 오인받았던 조지 캐플란이라는 인물, 심지어 영화 [새]에서도 새들이 인간을 공격하는 목적이 빠져 있다는 점에서 보면 영화..

지.아이.조 2 - 만화같은 액션에서 밀리터리 액션으로

스티븐 소머즈의 [지.아이.조 :전쟁의 서막]은 평단과 흥행 모두 신통찮은 결과를 낳았습니다. 엄청난 돈을 쏟아부은 작품치곤 제대로 된 CG도 보여주지 못했고 다양한 캐릭터를 작품속에 녹여내는데에도 실패했지요. 그럼에도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성공을 거둔 사람이라면 그건 바로 이병헌일겁니다. 사실 비나 박중훈, 박준형, 장동건, 배두나 등 많은 한국 배우들이 헐리우드로 진출했지만 누구하나 성공적인 정착을 한 배우는 아직 없습니다. 그나마 비는 자신이 타이틀롤까지 맡은 [닌자 어쌔씬]을 찍었지만 결과는 그리 좋지 않았죠. 반면에 영화내내 복면이나 쓰고 다니며 그저 그런 동양인1에 지나지 않을거라 예상했던 이병헌은 악역에 조연급 배역임에도 불구하고 무시못할 존재감을 뽐내며 [지.아이.조: 전쟁의 서막]에서 가..

영화/ㅈ 2013.03.28

링컨 - 격동의 시대에 권력의 정점에 올랐던 남자

구릿빛 감도는 미국의 1센트짜리 동전과 5달러짜리 지폐에는 애이브러햄 링컨의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워싱턴 D.C에 있는 링컨 기념관 앞에는 거대한 링컨의 좌상이 놓여져 있지요. 고작 200여년 밖에 되지 않는 미국의 역사 속에서 링컨의 영향력은 그만큼 미국인들에게 있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독학을 통해 변호사가 되어 오하이오주 국회의원으로 당선, 이후 미합중국의 16대 대통령이 된 드라마틱한 인생역전의 주인공이 된 그는 노예해방이라는 일생일대의 업적을 이루게 됩니다. 덕분에 링컨에 대한 이미지는 오늘날까지도 유능하고 인도주의적인 지도자로 남아있게 되었지요. 물론 객관적으로 한발 물러서서 보면 링컨의 이러한 처세 이면에는 정치적인 계산에 의해 노예해방이라는 ..

영화/ㄹ 2013.03.15

[블루레이] 아르고 - 아카데미가 선택한 레트로 무비

페니웨이™ (admin@pennyway.net) 눈에 띄는 프론트 러너가 없었던 지난 85회 아카데미의 가장 큰 이변이라면 아카데미 작품상 부문이 아닐까 싶다. 아카데미 시상식 최초로 현 퍼스트 레이디가 시상자로 나와 아마도 스티븐 스필버그의 [링컨]이 작품상을 가져가지 않을까 하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던 상황에서 미셸 오바마는 수상작으로 [아르고]를 지명했다. 비록 편집상, 각본상을 비롯해 총 3개 부분 수상에 그쳤지만 [아르고]는 1970년대 말 실제로 발생한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사건에 기초를 둔 레트로 스타일의 탈출영화로 벤 애플렉이 감독과 주연을 겸해 일찌감치 ‘포스트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탄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70년대 말, 이란의 미국 대사관이 폭도들에 의해 점거당해 63명의 대사관 ..

영화/ㅇ 2013.03.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