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뷰 1081

햅틱 아몰레드, 인코딩에 대해 알아보자

인코딩없이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 햅틱 아몰레드의 장점 중 하나임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햅틱 아몰레드가 전문 PMP가 아닌 휴대폰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때때로 인코딩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몇가지 상황을 꼽아보면 1.내 DVD에서 동영상을 추출해 햅틱 아몰레드로 보고 싶을 경우. 2.햅틱 아몰레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코덱의 동영상을 재인코딩해야할 경우. 3.햅틱 아몰레드에 최적화된 고화질 동영상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 4.용량을 줄이고 싶을 경우. 위의 4가지 정도가 되겠습니다. 그럼 각 상황에 맞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DVD에서 동영상을 추출하자. DVD에서 동영상을 뽑아내 인코딩하는 방법은 사실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가장 간단한 방법 한가지를 소개해 드..

아이스 에이지 3: 공룡시대 - 온 가족을 위한 선사시대 낭만담

2002년, CG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픽사 vs 드림웍스의 양강 체계를 깨뜨린다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일찌감치 탄탄한 시나리오와 놀랄만큼 사실적인 표현력, 그리고 무엇보다 성인과 아이들의 정서를 고루 아우르는 픽사의 명작들은 이미 업계에서 부동의 지존임을 인식시켰고, 엄청난 물량공세로 다양한 범작과 수작을 쏟아내는 드림웍스 또한 만년 2인자에서 조금씩 위로 나아가고 있었다. 이런 와중에 폭스사는 CG업체인 블루스카이와 손잡고 [아이스 에이지]로 CG 애니메이션 시장의 3파전을 예고했다. 결과는 대성공. 타사의 작품들과 달리 [아이스 에이지]는 화려한 CG나 거대한 스케일이 아니라 저연령층을 위한 단순한 스토리와 전형적인 캐릭터로 정면 승부를 걸었다. 비록 픽사의 완벽한 짜임새나 드림웍스의 말재간..

썸머워즈 - 호소다 마모루의 독특한 감성 판타지

아직까지도 스튜디오 지브리 하면 일본 극장용 애니메이션계를 대표하는 독보적인 존재다. 그러나 최근 [벼랑위의 포뇨]를 통해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하긴 했어도 동시에 위태로움을 보여준 이유는 지브리의 건재함이 미야자키 하야오라는 장기 독재의 기반위에 지어진 것이기 때문임을 부인할 수 없다. 최적의 후계자 콘도 요시후미를 잃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직접 현업에 복귀하며 아슬아슬하게 지브리의 명성을 지탱해 왔으나 후계 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항상 일이 꼬였다. 애당초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감독으로 내정되었던 호소다 마모루가 스폰서인 도쿠마 서점의 입김에 의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에게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을 때 그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떫떠름한 성공 이후 지브리측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

고전열전(古典列傳) : 공포의 보수 - 서스펜스의 극한을 보여준 걸작 스릴러

고전열전(古典列傳) No.11 여러분은 '서스펜스의 대가'하면 누가 가장 먼저 떠오르시는지요? 아마 영화 좀 봤다하는 분들은 주저없이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을 떠올리실 겁니다. 하지만 헐리우드에 히치콕이 있다면 프랑스에는 앙리-조르주 클루조가 있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그만큼 스릴러물의 대가로서 H.G 클루조의 명성은 히치콕에 버금가는 당대의 라이벌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시도로 서스펜스를 다양하게 구사했던 히치콕과는 달리 클루조의 스타일은 상당히 스트레이트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특히 그의 작품속에 나타나는 음울한 비관적 그림자는 프랑스 누아르의 정통을 시종일관 유지해 온 몇 안되는 감독으로서 그를 각인시켰습니다. 하지만 1947년작 [까마귀]에서 프랑스 소도시를 비관적으로 묘사..

햅틱 아몰레드, 무비 플레이어 사용기

이번 시간에는 햅틱 아몰레드로 동영상을 감상하는 실제적인 부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햅틱 아몰레드에 영화를 넣는 방법부터 차근차근 설명해 보도록 하죠. 대부분의 경우 햅틱 아몰레드에는 굳이 재인코딩과정 없이 바로 넣으시면 됩니다. 1.햅틱 아몰레드에 동영상 넣는 방법 우선 햅틱 아몰레드를 PC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여기로 가시면 삼성모바일 닷컴에서 제공하는 New PC Studio라는 프로그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햅틱 아몰레드의 모델명인 SPH-W850을 선택하시면 이 모델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받게 됩니다. 참고로 New PC Studio는 동영상의 전송외에도 주소록 관리라던가 문자메세지, 사진 등 핸드폰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일정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관리..

업 - 우리는 누구나 풍선달린 집을 꿈꾼다

어린시절은 누구에게나 꿈이 있다. 집이 가난하건 부유하건간에, 공부를 잘하건 못하건 간에 누구나 자신만의 미래를 꿈꾼다. 그러나 삶의 무게가 짓누르기 시작하며 현실과의 타협을 끊임없이 강요받다보면 그러한 꿈을 이루는 사람은 극히 일부가 되어 버리고 만다. 누군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가정을 이루고 신혼의 단꿈에 빠져 사는 것도 잠깐. 그 가정을 지키기 위해 미치도록 일하다가 늙어 버린 다음에는 어린 시절의 꿈을 다시 이루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경제적으로는 안정되었을지언정 용기와 건강을 잃어 버리기 때문이다. 결국 그렇게 짧다면 짧은 삶을 살다가 가는 것이 우리의 인생이 아니겠는가. '천재'라는 수식어보다 더 걸맞는 표현이 있다면 몇 개라도 붙여주고 싶은 픽사 스튜디오의 신작 [업]은 꿈을 실천하는 어느 ..

명탐정 코난 극장판 13: 칠흑의 추적자 - 은색탄환, 부활의 신호탄을 쏘다

금년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의 최대의 화제를 불렀던 작품이 개막작인 [뮤]나, 부천 초이스 선정작인 [영혼을 빌려드립니다], 폐막작으로 선정된 인도네시아 최초의 무술 액션물 [메란타우] 같은 영화가 아니라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였다는 점은 참으로 흥미롭다. 대체적으로 한산한 분위기였던 영화제의 성격상 두 번에 걸친 상영 모두 광속의 매진사태를 기록했다는 사실은 극영화가 주류를 이룬 Pifan의 작은 이변이자, [명탐정 코난]이란 브랜드가 지닌 소리없는 파워를 입증한 결과다. 이러한 현상이 더욱 의아했던 것은 [칠흑의 추적자]가 [명탐정 코난] 극장판의 13번째 작품으로서 어찌보면 진부한 시리즈의 끝물에 다다른 듯이 보인다는 점에서다. 실제로 코다마 켄지에서 야마모토 야스이치로 감독..

김시광의 공포영화관 - 어느 블로거의 공포영화 예찬

김시광의 공포 영화관 - 김시광 지음/장서가 영화 블로거로서 아주 '조금' 알려지다보니 자주 받게 되는 질문이 있다. 아니, 하다못해 선자리나 소개팅 자리에 불려가 가뜩이나 말주변없는 내가 그나마 서로의 취향을 물어보던 중 영화에 대한 부분이 나오면 공통적으로 받는 질문이기도 하다. '어떤 영화를 가장 좋아하세요?' 물론 질문자는 별 생각없이 질문했거나 영화를 좋아하는 너라면 이 정도는 쉽게 답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도에서 물어본 것이겠지만 나는 이런 질문을 받을 때가 가장 난감하다. 구체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영화가 무엇인지를 묻는 것인지, 아님 장르를 묻는것인지조차 모호한데다가 그렇다고 '뭐든지 다 좋아한다'는 것처럼 무성의한 대답도 곤란하지 않은가. 그럴때면 무심코 튀어 나오는 대답이 '나는 공포영..

햅틱 아몰레드, 이 정도면 PMP 못지않네

솔직히 출퇴근 및 이동시 길을 걸어가면서도 시간을 쪼개서 영화를 봐야하는 저로서는 PMP급의 휴대기기가 꼭 필요한 입장입니다. 7시쯤 퇴근해 집에 와서 밥먹고 씻고 영화한편 보면 벌써 12시, 1시인데요 그렇다고 매일 영화만 볼 수 있습니까? 저도 사람인데 다른 문화활동이나 휴식도 좀 가져야지 그렇지 않고서야 이건 영화보는 기계도 아니고.. ㅠㅠ 여지껏 다양한 PMP및 유사 관련제품을 사용해 봤지만 역시 중요한건 사용의 편의성과 화면, 음향 그리고 휴대성으로 압축되더군요. 여기에 하나 더하자면 배터리의 성능 정도? 이 모든 것을 만족시켜줄만한 휴대폰이 나와준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이제 햅틱 아몰레드의 PMP 대용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해 봅시다. 한가지 미리 알려드릴 것은 120.8g의 무게에 115.2(..

괴작열전(怪作列傳) : 대사왕 - 디 워 표절논란의 진실은?

괴작열전(怪作列傳) No.84 재작년 이맘때가 생각나네요. 그 때 한창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던 것은 다름아닌 [디 워] 논쟁이었습니다. 애국 마케팅 논란에서부터 북미지역 와이드 릴리즈의 허와 실, 그리고 특수효과와 스토리의 완성도 논란까지 정말 뜨거웠던 여름이었습니다. 사실 한물간 괴수물로 헐리우드를 공략한다는 심형래 감독의 야심자체가 어느정도 무리수는 있었습니다만 국내에서의 어이없을 정도의 흥행 대성공에도 불구하고 북미쪽 박스오피스 성적은 참담한 결과였죠. 워낙 이슈가 많았던 작품인지라, 여러 가지 논란거리를 제공하긴 했지만 그 중에 포함된 것중에 하나가 바로 '표절' 문제였습니다. [디 워]의 클라이막스 중 하나이자, 메인포스터로 쓰였던 장면 기억나시나요? 네, 부라퀴가 고층빌딩을 둘둘 감고 올라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