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뷰 1081

[블루레이] 아마존의 눈물: 극장판 - 지구의 눈물, 두번째 이야기

글 : 페니웨이 (http://pennyway.net) MBC 창사 47주년 특별기획으로 기획된 [북극의 눈물]의 성과는 고무적이었다. TV 다큐멘터리에게 있어 마의 장벽인 두자릿수를 돌파하면서 평균 시청율 12%대를 유지하며 다큐멘터리의 새역사를 쓴 [북극의 눈물]의 제작진은 예상을 뛰어넘는 인지도를 바탕으로 과감하게 극장판의 제작을 감행해 척박한 국내 극장용 다큐멘터리 시장에도 촉촉한 단비를 내렸다. 비록 [북극의 눈물]은 BBC 다큐멘터리와 같은 세련된 맛은 없었으나 투박하면서도 생생한 현장감을 중시한 연출기법으로 오히려 관객에게 신선함을 주었다. 바야흐로 한국식 명품 다큐멘터리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북극의 눈물 블루레이 리뷰 바로가기) 그로부터 2년 뒤, [북극의 눈물]의 성공에 뒤이어 제..

영화/ㅇ 2010.09.22

퀴즈왕 - 전형적인 장진 코미디의 장단점

우선 미리 밝혀두지만 나는 장진 감독의 팬이다. 독특한 캐릭터 구성과 매니아성 짙은 유머만으로도 장진 감독의 영화는 관객을 유쾌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최근 그의 작품이 조폭물에 도전한 [거룩한 계보]를 기점으로 하향세를 보이는건 개인적으로도 조금 안타깝지만 한국영화사상 최고의 웰메이드 로맨틱 코미디라 생각하는 [아는 여자]나 남북한 이념의 어두운 측면을 블랙 코미디로 승화시킨 [간첩 리철진] 같은 작품만 보더라도 장진 감독의 이름이 들어간 영화는 뚜렷한 개성을 지니는 일종의 브랜드다. 장진 감독의 신작 [퀴즈왕]은 장진식 코미디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동시에 단점도 고스란히 드러나는 영화다. 이번에는 [슬럼독 밀리어네어]나 한석규 주연의 [미스터 주부퀴즈왕]처럼 TV 퀴즈쇼를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다소..

영화/ㅋ 2010.09.18

시라노; 연애 조작단 - 남자들을 위한 로맨틱 코미디

아, 괜히 봤습니다. 지금은 보지 말았어야 할 영화를 본 것 같아요. 오해는 마세요. [시라노; 연애 조작단]은 결코 못만들거나 재미없는 영화가 아닙니다. 그저 내가 겪고 있는 심리적인 우울함을 더욱 증폭시킨 영화라는 점에서 후회가 밀려오는 것 뿐이니까요. [시라노; 연애 조작단]을 선택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사전 지식은 제목에 들어간 '시라노'라는 단어가 과연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극중에서 우스게 소리처럼 던지는 대사처럼 공룡 티라노를 연상케하는 단어이지만 비교적 90년대 초 영화에 관심이 많았던 분들이라면 제라드 드 빠르디유가 주먹만한 코를 붙이고 나왔던 [시라노]를 쉽게 떠올리실 겁니다. 맞습니다. 이 영화는 [시라노]에서 주인공 시라노 백작이 가진 딜레마, 즉 못생긴 외모 때문에 차마 사랑하..

영화/ㅅ 2010.09.16

속편열전(續篇列傳) : 전자인간 337 - 마루치 아라치의 속편은 어떤 작품?

속편열전(續篇列傳) No.14 * 본 포스트는 고전열전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 리뷰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임정규 감독의 데뷔작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가 15만 관객동원에 성공하며 대히트 한 것과 [로보트 태권브이: 수중특공대]의 판정패는 당시 한국 애니메이션계의 변화를 감지할 만한 사건입니다. 아무리 태권브이라 하더라도 로봇 애니메이션으로서의 확장성에는 엄연히 한계가 뒤따랐다는 것, 반면 순수 국산 슈퍼히어로의 탄생과 인간 중심의 스토리가 관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새로운 개척분야로 떠올랐다는 것이었지요. 이를 의식한 김청기 감독은 차기작으로 [황금날개 123]이라는, 로봇이 아닌 슈퍼히어로에 초점을 맞춘 작품을 준비합니다. 그와는 반대로 임정규 감독은 다음 작품으로 로봇 캐릭터의 비중을 대폭..

마루 밑 아리에티 - 디테일이 살아 숨쉬는 감성 애니메이션

콘도 요시후미 감독의 사후, 확고한 후계 체제를 구축하지 못해 애니메이션 명가의 자리가 흔들리기 시작한 스튜디오 지브리의 고민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이는 사실상 대안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한 [게드전기]의 미야자키 고로의 자질 문제만이 아니다. [모노노케 히메]에서의 은퇴선언 후 본의 아니게 현역을 떠날 수 없었던 미야자키 하야오도 점점 한계에 부딪히고 있었다. 지브리식 인어공주를 표방한 [벼랑위의 포뇨]는 모처럼 어린이의 눈높이로 돌아온 지브리표 동화였지만 제작기간 내내 표절문제에 시달린데다 이전같은 임팩트를 주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호소다 마모루 감독을 놓친건 스튜디오 지브리의 가장 뼈아픈 실수였을 것이다. 이제 더는 뒤로 물러설 곳이 없다고 판단했던 것일까? 스튜디오 ..

노다메 칸타빌레: 최종악장 Vol.1 - 극장판이라기 보단 TV 스페셜에 가깝다

수많은 만화가 드라마로 재탄생하며, 때론 실패하고 때론 원작만큼의 인기를 얻기도 하지만 그 중에서도 [노다메 칸타빌레]는 가장 성공적인 만화의 드라마 버전으로 손꼽힐만 합니다. 이미지의 바운더리 안에 갇힌 수많은 클래식 명곡들이 톡톡 튀는 캐릭터들과 더불어 실체화 되었을 때의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짜릿한 것이었지요. 특히 노다메 역의 우에노 주리가 보여준 싱크로 100%의 과장된 연기는 진정 그녀가 노다메를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닌가 싶을만큼 높은 몰입도를 선사했습니다. 이러한 [노다메 칸타빌레]의 열풍은 11화로 마무리 된 드라마에 이어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졌고 곧이어 4시간짜리 스페셜 드라마 [노다메 인 유럽] 2부작이 방영되면서 또다시 인기를 누렸는데요, 유럽 로케이션 촬영의 부담 때문이었을까요?..

영화/ㄴ 2010.09.09

[블루레이] 그린 존 - 현장감 탁월한 전쟁 스릴러

글 : 페니웨이 (http://pennyway.net) [자헤드: 그들만의 전쟁], [엘라의 계곡], [허트 로커] 등 미국의 명분없는 전쟁이었던 이라크전의 상흔을 스크린으로 옮기는 작업은 근래들어 꽤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다. 심지어 [페르시아의 왕자]조차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은유적으로 빗대어 표현하지 않았는가. 뒤늦게나마 자기반성의 의미로 미국의 치부를 스스로 밝히는 것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이러한 이라크전 관련 영화들이 흥행에 있어서는 하나같이 고전하고 있다는 점은 아직까지 진실을 정면으로 주시하기에 거북한 소재라는 방증이 아닐까. 캐서린 비글로우의 [허트 로커]가 아카데미를 비롯한 각종 영화제 석권의 대형 호재를 가지고도 큰 힘을 쓰지 못한 걸 보면 어쩌면 이라크전은 영원히 미국인들의 '불편한..

영화/ㄱ 2010.09.07

영화 매니아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이폰을 비롯한 다른 운영체제를 가진 스마트폰에 비해 안드로이드폰 시장이 후발주자이긴 합니다만 무서운 속도로 앱 시장의 파이를 키우고 있는데요, 잘 찾아보면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어떤 앱(어플)을 소개할까 고민하다가 명색이 영화 블로그이니 만큼 영화 매니아들에게 꼭 필요한 몇가지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간결하고 가벼운 어플리케이션입니다. 현재 상영작에 대한 평점과 포스터, 감독 및 배우들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급히 영화가 땡길때 혹은 잡다한 내용해설 같은거 없이 기본정보만 가지고 영화를 선택하실 분들에게 유용한 앱입니다. 위의 실시간 영화검색 정보 앱보다는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는 위의 앱과 비슷하지만 '상..

뮬란: 전사의 귀환 - 지루한 중국 구국신화의 재생산

남장여인의 구국영웅신화를 노래한 중국 북방지역의 목란시(木蘭詩)는 이미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을 접한 우리에게 있어 그리 낯선 이야기가 아니다. 병든 아버지를 대신해 징집당한 효녀 뮬란이 전장에서 승승장구 활약하며 나라를 구한 이 이야기는 대표적인 금녀지대로 인식되는 병영에서의 고된 생활을 겪으면서 한편으로는 여자라는 정체성이 탄로날까 노심초사하는 뮬란의 심정으로부터 극적인 재미를 느낄만한 흥미로운 설화다. 자국의 유명한 이야기를 헐리우드에서 먼저 상업적으로 이용한 것이 못내 아쉬웠던지 대만의 47부작 드라마 [화목란]은 애니메이션과는 사뭇 다른 뮬란의 모습과 일생을 묘사하며 값싼 오리엔탈리즘에 심취했던 디즈니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설화 본연의 오리지널리티를 살리려는 시도를 한 바 있다. 이번에 새롭게..

영화/ㅁ 2010.09.03

LG 옵티머스Z의 멀티미디어 기능 리뷰

옵티머스Z 리뷰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스마트폰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MP3나 PMP관련 회사들이 울상이라는데요, 그만큼 스마트폰의 다재다능한 기능들이 이들 미니가전들의 입지를 좁게 만들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핸드폰 하나면 영화부터 음악 사진촬영, 그리고 TV까지 모두 해결이 되니 세상 참 많이 변했습니다. 그럼 이제 리뷰 들어가볼까요? 옵티머스Z는 3.5인치의 WVGA (400x800) Hyper HD LCD를 채용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동급 제품들과 비슷한 규격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무인코딩에 자막을 지원하기 때문에 아이폰처럼 mp4 컨테이너로 변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Divx 및 H.264 코덱 영상을 그냥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