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483

어벤져스 - 영화사상 초유의 크로스오버

지금도 믿기지가 않습니다. [아이언맨]을 처음 봤을 때 나오리라고는 생각하고 있었지만 그래도 설마 설마하던게 엊그제 같은데, [어벤져스]가 진짜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사실 이 작품은 기획 당시부터도 드림 프로젝트라 불리며 초미의 관심을 모은 그야말로 전세계 슈퍼히어로 마니아들에게 있어서는 기념비적인 영화라 할 수 있죠. 이 분야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은 관객들은 ‘야~ 또 근사한 블록버스터 한 편 나왔다보다’ 싶겠지만요, 마블 코믹스 팬들에게는 그야말로 목숨걸고 사수해야 할 작품인 겁니다. 몇 년전부터 마블 측에서는 [어벤져스]를 위해 각별한 공을 들여왔습니다. [아이언맨] 1,2편, [인크레더블 헐크], [천둥의 신: 토르], [퍼스트 어벤져]까지 [어벤져스]의 떡밥이 아주 깨알같이 뿌려질 수 있었던..

영화/ㅇ 2012.04.28

비버 - 현대인의 우울증 보고서

조디 포스터의 세번째 감독작 [비버]는 우울증에 대한 영화입니다. 현대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덩달아서 급증하고 있는 우울증 환자와 정신질환에 시달리는 현대인들, 그리고 그로 인해 고통받는 가족들의 이야기죠. 주인공인 월터(멜 깁슨 분)는 잘나가는 기업가이자 사랑스런 아내, 그리고 두 아들을 가진 성공적인 미국인 가장의 조건을 갖춘 사람입니다. 하지만 지독한 우울증에 빠져 하루의 대부분을 잠을 보내고 삶의 의욕을 잃게 되어 급기야는 자살까지 시도하는 지경에 이르고 맙니다. 그 순간 손에 끼는 비버 인형을 발견하면서 월터의 인생이 바뀝니다. 그는 내제된 자아를 비버 인형을 통해 표현하면서 세상과 소통하기를 선택하죠. 그는 예전의 활기찬 월터로 돌아갑니다. 가족과의 관계가 개선되고 사업은 정상궤도에 오르며 월터..

영화/ㅂ 2012.04.16

타이타닉 3D - 명작은 3D가 아니어도 좋다

[아바타] 이후 영화계의 트렌드가 되어버린 3D 열풍. 그러나 [아바타]의 충격을 넘어설만큼 3D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영화는 그리 많지 않다. 영화사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이미 거액의 시설비를 투자한 극장주들의 불만을 잠재우려면 되든 안되든 3D영화를 줄창 만들어야 할 것이고, 또 노력대비 수익면에선 일반영화보다 3D쪽의 수입이 월등히 높은게 사실이다. 게다가 전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한 영화 한두편을 갖고 있는 감독이라면 3D 컨버팅이라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사골국물 내듯이 또 한번 관객의 호주머니를 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도 있지 않겠는가. 어쨌거나 3D영화를 주도한 제임스 카메론이 차기작을 내놨다. 물론 영화를 새로 찍은 건 아니다. [아바타 2]나 [총몽]을 내놓길 바라는 팬들의 마음을 여봐..

영화/ㅌ 2012.04.04

언터처블: 1%의 우정 - 담백하고 진솔한 휴먼 드라마

때론 이변이라는 게 일어난다. [언터처블: 1%의 우정]이 헐리우드의 쟁쟁한 대작들을 제치고 프랑스 박스오피스 정상을 무려 10주 연속이나 차지했던 일은 분명히 이변이라 부를만 하다. 유명배우도, 유명 감독의 이름도 보이지 않는 이 작품이 유럽의 박스오피스를 석권하고 세자르 영화제에서도 선전하며 비평과 흥행 모두를 성공시킨 이면에는 과연 어떤 힘이 있는 것일까? 우선 이 영화는 실화다. 휴먼 드라마에서 약간의 코믹한 요소를 더했지만 기본적으로 흥행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장르다. 흑백간의 인종을 뛰어넘은 우정이라는 캐캐묵은 설정 또한 그리 새로울 것은 없다. 하반신이 마비된 부유한 백인과 그를 돕는 흑인 도우미의 우정. 아무리 각박한 세상이라 해도 이 정도의 감동을 주는 영화는 흔하다. 그럼에도 [언터처..

영화/ㅇ 2012.03.22

[블루레이] 인 타임 - SF판 보니 앤 클라이드

글 : 페니웨이 (admin@pennyway.net) 시간이 화폐가 되는 세상. 유전공학의 발달로 사람들은 25세 이후 성장과 노화를 멈추는 대신 이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시간을 충전해야 한다. 그것이 노동력이 되었든 강도질이 구걸이 되었든 간에 말이다. 시간의 소유는 화폐를 사용하던 시절처럼 단순한 재화로서의 기능을 넘어 무한한 생명의 획득을 뜻하며, 그렇지 못한 자는 그야말로 하루살이의 인생이다. 이보다 더 명쾌하고 무시무시한 적자생존의 세계관이 또 있을 수 있을까. [가타카]로 전 세계의 SF영화팬들에게 열광적인 지지와 찬사를 한 몸에 받았던 앤드류 니콜 감독은 [인 타임]을 통해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가져온 새로운 계급사회의 모순과 붕괴를 다시 한번 논한다. 주인공 윌은 우연한 사건을 통해 어마..

영화/ㅇ 2012.03.19

크로니클 - 페이크 다큐에 담은 안티 히어로

한때 붐을 이루다시피 한 슈퍼히어로 장르는 올해 그 정점을 이룰 듯 합니다. 마블사에서는 몇 년몇 걸쳐 꼼꼼하게 준비한 [어벤져스]를 내놓을 예정이고, DC코믹스에서는 아마도 올 한해 가장 큰 관심을 모을 [다크나이트 라이즈]를 개봉할 계획이지요. 둘 다 궁극의 히어로물이 될 것이라는데에는 이의가 없을 겁니다. 다만 [어벤져스]가 팬심을 자극하는 오락성 위주의 작품이라면 [다크나이트 라이즈]는 전작을 뛰어넘을 아트 블록버스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차이랄까요. 그런데 여기 조금 생소한 느낌의 히어로물이 2012년의 포문을 엽니다. 바로 [크로니클]이죠. 쉽게 말해 이 작품은 [블레어 윗치] 이후 유행처럼 번졌던 모큐멘터리, 즉 페이크 다큐형식을 빌린 저예산 영화인데 모큐멘터리 필름의 장르적 베이스가 다분..

영화/ㅋ 2012.03.15

존 카터: 바숨전쟁의 서막 - 너무 늦게 나와버린 SF활극의 원조

어디서 많이 본 것 같다구요? 전체적인 서사구도는 [아바타]를 닮았고, 특정 장면과 캐릭터는 [스타워즈]를 연상시키며 그 외에도 늘상 보아왔던 SF영화나 판타지물의 여기저기에서 따온 것 같은 장면들… 맞습니다. 2012년 첫번째 블록버스터 [존 카터: 바숨전쟁의 서막]은 이들 영화들과 무척 닮아 있습니다. 사실 [존 카터: 바숨전쟁의 시작]의 원작인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화성의 공주’는 무려 1912년 작,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딱 100년전에 탄생했습니다. 그러니 이후에 쏟아진 SF장르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건 자명하지요. 오히려 앞서 언급한 영화들과 닮지 않았다면 그게 더 이상합니다. 제임스 카메론은 [아바타]를 만들면서 자신의 작품이 ‘화성의 공주’를 업그레이드한 것임을 분명히 밝힌 바 있으니까..

영화/ㅈ 2012.03.10

아티스트 - 흑백무성영화의 매력은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난 말 못해! 말할 수 없다!’ 영화 [아티스트]의 첫 대사는 참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영화상으로는 전기고문을 당하는 한 남자가 끝까지 사실을 말하지 않겠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이 영화가 ‘무성영화’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동시에 무성영화 스타가 유성영화를 거부하게 되는 스토리를 암시하는 중의적인 장면이거든요. 이내 영화는 무성영화를 즐기는 객석의 풍경을 담아냅니다. 흑백무성영화시대를 모르는 관객에게는 신기한 경험이지요. 그렇습니다. 81회 아카데미의 최종승자인 [아티스트]는 무성영화시절의 향수를 듬뿍 담은 작품입니다. 대사를 없애고 배우들의 몸짓과 표정만으로 이야기를 완성시킨 이 작품은 그간 사람들이 잊고 지냈던 과거의 무성영화가 지닌 매력을 풍부하게 이끌어내고 있지요. 물론 테크닉적인 면에서는..

영화/ㅇ 2012.03.06

휴고 - 3D로 풀어낸 거장의 고전영화 찬가

이번 81회 아카데미는 사실상 [휴고]와 [아티스트]의 맞대결이었습니다. 작품적인 부문에서 [아티스트]가 주요상을 가져갔다면 [휴고]는 기술적인 부문의 승자였지요. [아티스트]는 흑백무성영화방식을 통해 고전으로의 회귀를 선택한 반면 [휴고]는 [아바타] 이후 3D에 최적화 된 영화라는 평을 받으며 최첨단 영화기술의 현재를 보여준 작품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대칭점에 선 두 작품이지만 실은 두 작품 모두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고전영화에 대한 노스텔지어’입니다. 주로 R등급 영화를 내놓은 스콜세지의 취향으로 볼 때 [휴고]는 조금 이질적인 작품일 수도 있습니다. 일단 이 작품이 브라이언 셀즈닉의 그림동화 ‘위고 카브레’에 기초했다는 점을 제껴두더라도 아이들이 주인공으로 나오고 판타지풍의 비주얼..

영화/ㅎ 2012.03.01

철의 여인 - 마가렛 대처로 변신한 메릴 스트립

아시다시피 [철의 여인]은 영국 최초의 여성총리로 내리 3선을 지낸 마가렛 대처 수상의 이야기입니다. [더 퀸], [킹스 스피치] 등 현대사를 살아온 영국 권력자들의 영화는 하나같이 좋은 평가를 받아온게 사실이니만큼 영화소재로서는 손색이 없습니다. 여기에 현존하는 최고의 실력파 여배우 메릴 스트립이 대처 수상을 연기하니 이보다 더 구미가 당길순 없겠지요. 게다가 감독은 [맘마미아!]에서 메릴 스트립과 찰떡궁합을 보여준 필리다 로이드에요. 적어도 이번 아카데미에서 여우주연상 하나쯤은 너끈히 건질 수 있을 만한 느낌이 팍팍 오지 않습니까? 그런데 기대와는 달리 [철의 여인]은 대처 수상의 재직당시 그 파란만장했던 정치사를 다루는 영화가 아닙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그녀의 정치적 행보를 어느 정도 묘사한 ..

영화/ㅊ 2012.02.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