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뷰 1081

괴작열전(怪作列傳) : 철인 007 - 정체성이 상실된 표절 애니메이션의 원조

괴작열전(怪作列傳) No.19 추억의 애니메이션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는 작품 중 하나가 바로 [독수리 5형제]라는 애니메이션입니다. '독수리 5형제가 없으면 지구는 누가 지키나?'라는 말이 유행어가 될 정도로 유명한 이 작품은 요시다 다키오의 원작 만화인 [과학닌자대 갓챠맨 (科學忍者隊ガッチャマン)]을 총 105화의 장편 TV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면서 크게 히트했는데요, 1972년에 처음 제작되었던 이 시리즈는 1978년에 52화짜리 두 번째 작품이, 1979년에는 48화로 구성된 세 번째 작품으로 각각 만들어진 바 있습니다. 그 외에도 1978년작 극장판과 1994년에 발매된 OVA를 합치면 무려 다섯차례나 선을 보인 장수 애니메이션이지요. 2000년에 들어서는 인기그룹 SMAP이 출연한 NTT의 CF..

순정만화 시즌1 - 사랑의 치유력에 관하여

강풀의 만화는 사실 그림으로 보는 만화가 아니다. 작가 스스로가 인정했듯이 만화가 치고는 그림을 그다지 잘 그리는 편이 못된다. 이 때문에 그는 친구나 지인들을 불러다가 모델을 서게 만든 뒤 디카로 찍은 실사를 토대로 그림을 완성시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렇게 뛰어난 작화를 선보이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만화가로 유명해진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만화가 강풀(본명: 강도영). 푸짐한(?) 외모처럼 스토리도 따뜻하며 인간적이다 강풀의 만화는 마음으로 보는 만화이기 때문이다. 주로 [일쌍다반사]같은 단편만화에 치중해 토사물이나 화장실을 이용한 개그를 선보여 '엽기 만화가'의 이미지가 강했던 강풀이 본격적인 장편에 도전한 작품이 바로 [순정만화]다. 하하, 제목부터 촌스럽게 [순정만화]란다. 필자도..

괴작열전(怪作列傳) : 가이버 - 일본만화가 헐리우드식 특촬물을 만났을 때..

괴작열전(怪作列傳) No.18 여러분께서는 [강식장갑 가이버 強殖装甲ガイバー] (국내명: 철인전사 가이버) 라는 만화를 아쉼까? 1985년 첫연재를 시작한지 20년이 지났음에도 '내 살아생전 이 만화의 끝을 볼 수 있을까?" 심히 의심스러울 정도로 진행이 더딘 작품입니다. 이제 고작 24편까지 나왔다지요. (그것도 2006년에.. ㅠㅠ) 주인공 쇼우가 '유니트'라는 우연히 물건을 손에 넣으면서 생체병기 '가이버'로 탄생한다는 독특한 히어로물인 [강식장갑 가이버]는 기존의 히어로물을 뛰어넘는 파격적인 스토리로 주목받았습니다. [스파이더맨]처럼 슈퍼 파워를 얻은 주인공이 악당들로부터 지구를 구한다는 뻔하디 뻔한 스토리가 여타 히어로물의 특징인 반면, [강식장갑 가이버]는 자신과 같은 능력을 지닌 또한명의 히..

괴작열전(怪作列傳) : 철인 28호 - 로봇물로 포장된 성장영화

괴작열전(怪作列傳) No.17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 [20세기 소년]에 보면 사다키요라는 인물이 이렇게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진정한 로봇은 '철인 28호(鐵人28號)'다" 라고요. 사실 [철인 28호]는 거대 로봇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의 시초격으로서 1956년, 요코야마 미츠테루 감독이 만화로 연재를 시작한 이래 수많은 애니메이션 제작과 TV드라마 등 다양한 리메이크를 거듭하며 일본 국민들의 기억속에 깊숙히 자리잡은 작품입니다. 저도 어렸을적에 관절이 움직이는 3백원짜리 프라모델(지금 기준으로 5천원은 줘야 함다)을 사들고 좋아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어릴적의 추억 [철인 28호]. 거대 로봇물의 모태가 된 작품이다. 이전의 [캐산] 리뷰에서도 설명했듯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일본은 자국의 풍부한 ..

식코 - 미국 의료보험의 충격적 실태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를 대중에게 어필하고, 상업적인 가치의 영역으로까지 끌어올린 마이클 무어 감독. 그는 [로저와 나], [볼링 포 콜럼바인], [화씨 911]등 미국사회의 치부를 들추는 화제작들을 연출하면서 유명해졌다. 특히 [볼링 포 콜럼바인]이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상을 수상하자, 수상소감을 밝히며 "Mr. Bush. Shame on you (부시, 창피한줄 아시오)'라고 당당히 외침으로서 야유와 갈채를 동시에 받기도 했다. [식코]는 마이클 무어 감독의 최신 다큐멘터리로서 미국내의 의료보험문제를 심도있게 파고든 또하나의 문제작이다. [로저와 나]가 미국 대기업의 횡포를, [볼링 포 콜럼바인]에서는 미국 총기사용의 실태와 과잉방위적인 미국인들의 의식구조를, [화씨 911]은 미국정부의 공포정치..

영화/ㅅ 2007.11.30

헤어스프레이 - 뚱녀는 즐거워

사실 필자는 아직도 뮤지컬이란 장르가 낯설다. 그나마 지루하지 않게 봤던 뮤지컬은 [사운드 오브 뮤직]을 빼면 한손에 꼽기도 힘들 정도였다. 그러나 최근 뮤지컬 영화들이 신선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년전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동명 뮤지컬을 스크린으로 옮긴 [오페라의 유령]이 뮤지컬의 불모지와도 같은 한국에서도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고, 작년에는 기라성같은 흑인배우들이 총출동한 [드림걸즈]가 평론가들의 극찬속에 흥행에서도 선전했다. 그리고 올해 또 한편의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영화화되어 화제를 모았는데, 그 작품이 바로 [헤어스프레이]다. (*참고: [헤어스프레이]의 원작은 1988년 존 워터스의 영화이지만, 당시 큰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브로드웨이에서 주목받기 시작했음) 한 뚱뚱한 여고생이 TV 댄스..

영화/ㅎ 2007.11.29

버블로 고! 타임머신은 드럼방식 - 돌아온 히로스에 료코의 거품경제 체험기

한국이 IMF사태라는 충격적인 경제위기를 경험한지 벌써 10년째가 되었다고 한다. 국가부도사태인 '모라토리엄'을 간신히 막았고, IMF을 통해 받은 차관을 모두 상환하는 등 뼈를 깍는 노력으로 겨우 악몽을 헤쳐나오긴 했지만 폭등하는 집값, 심화되는 양극화, 고용불안 등 심각한 문제들은 여전히 남아있다. 필자의 가정도 IMF이후 아파트 평수가 반토막이 나 버렸으니, 시간을 되돌릴 수만 있다면 10년 전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심정이다. ㅡㅡ;; 한국경제의 심각한 위기를 불러일으켰던 IMF사태 이웃나라 일본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잃어버린 10년'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경제 호황기의 버블경제가 무너진 일본의 경제침체는 크나큰 악몽이었다. 이제 간신히 암흑속 터널을 뚫고나와 새출발하는 모습이지만 잘나가던 시절 일..

영화/ㅂ 2007.11.27

괴작열전(怪作列傳) : 캐산 - 어린시절의 추억마저 앗아간 실사영화

괴작열전(怪作列傳) No.16 1970년대를 살았던 남자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가장 최고의 화두는 무엇이었다고 생각하십니까? 네, 바로 '로봇'이었습니다. [마징가 제트]를 필두로 [짱가]니, [태권브이]니 하는 무수한 로봇들이야말로 장차 싸나이가 될 어린이들의 로망이자 꿈이었습니다. 그러한 로봇을 이끌고 악당들을 쳐부수는 주인공이 되는 꿈을 꿔보지 않은 아이들이 있을까 싶네요. 그러나 이렇게 주인공이 탑승해야 진가를 발휘하는 슈퍼로봇계열의 수동적인 모습과는 반대로 주인공 자체가 로봇인 독특한 캐릭터도 있었지요. 그것이 바로 [신조인간 캐산 (국내명: 인조인간 캐산)]입니다. [신조인간 캐산]은 인간의 모습과 똑같은 안드로이드가 주인공이 되어 세계정복을 꿈꾸는 악당에 대항해 지구를 지킨다는 설정을 가진 작..

검은사기 - 눈에는 눈, 사기꾼에게는 사기!

인터넷 사기를 당한 경험이 있으신가? 그 금액이 얼마가 되었던 간에 잃어 버린 금액에 대한 아까움은 물론이거니와 상대방을 믿었던 신뢰를 배신당했을 때 느끼는 더러운 기분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안타깝게도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 사기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 수법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인터넷 사기피해 정보 사이트 더 치트 (http://www.thecheat.co.kr) 사기는 피해자의 금전뿐만아니라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준다는 측면에서 볼때 다른 범죄보다 월등히 악질 범죄다. 아마 사기를 당해본 사람이라면 사기꾼들에게 느끼는 분노게이지가 하늘을 찌를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만큼 사기는 나쁜 범죄지만 그 처벌은 너무나도 미미해서 소액사기의 경우 피해자가 겪은 정..

괴작열전(怪作列傳) : 긴급조치 19호 - 깨지지 않는 방어율, 1점대 평점의 비밀

괴작열전(怪作列傳) No.15 지난 10월에 무비스트에서 '네티즌이 뽑은 2000년대 최악의 한국영화 Best'라는 글이 올라와 한동안 인터넷에서 회자된 적이 있었습니다. 베스트에 뽑힌 영화들의 목록을 보니 절로 고개가 끄덕거려지는 걸작(?)들로만 이루어져 있더군요. 지난 괴작열전에서 소개한 [클레멘타인]을 비롯해 같은 김두영 감독의 [주글래 살래]도 올라와 있고, [아 유 레디?], [도마 안중근]등 그야말로 쟁쟁한 작품들이 선정되었습니다. ㅡㅡ;; 과연 그 중에서 '킹왕짱' 1위에 오른 영화는 무엇일까요? 바로 [긴급조치 19호]라는 작품입니다. 귀에 많이 익으시죠? 그런데 이 작품을 실제로 본 사람은 몇이나 될지 그것이 더 의문입니다. 암튼 봤다고 주장하는 분들의 평가는 여지없이 0점 아니면 10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