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뷰 1081

괴작열전(怪作列傳) : 큐티하니 - 나가이 고, 안노 히데아키의 괴상한 만남 (2부)

괴작열전(怪作列傳) No.56 - 제2부 - 실사판 [큐티하니]의 기본 줄거리는 기존의 모든 [큐티하니]시리즈와 동일하게 안드로이드인 하니가 악의 세력인 판사크로에 대항해 싸운다는 지극히 단선적인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큐티하니'라는 캐릭터는 오로지 판사크로를 없애기위해 존재하는 인물이랄까요. (이 설정 자체는 애니판이나 실사판이나 변함이 없다는 얘기) 하지만 실사판에서는 원작과는 달리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는데요, 원래는 여고생이었던 하니의 연령대가 신입사원 즉 아가씨로 상향조정되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변신을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그 에너지원이 '삼각김밥'이라는 아스트랄한 설정도 가미되었구요, 더 나아가 하니라는 캐릭터 자체가 평상시나 변신 이후나 정신줄을 놓고다니는 나사빠진 여자..

누들 - 대화는 언어가 아니라 마음으로 하는 것

단관개봉시절, 유명한 영화의 좌석이 매진되어 꿩대신 닭이라고 인근 극장의 인기없는 영화를 보았다가 의외로 재미있었던 추억을 가진 분들이 계시는가? 비록 예정에는 없었지만 뜻밖에 괜찮은 영화를 발견하고는 나름 뿌듯했던 기억이 필자에게도 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우리 극장가에는 멀티플렉스가 들어서면서부터 인기작을 두 세 개의 상영관에서 대량으로 상영하는 바람에 이제는 매진되어 계획한 영화를 놓친다거나 다른 극장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풍경을 더는 찾아볼 수 없다. 그나마 소외된 영화에 눈길을 돌릴 만한 작은 가능성마저도 사라진 셈이다. 헐리우드 대작들이나 국내 영화중에서 그나마 돈 좀 들였다고 알려진 작품이 아니고는 그 많은 상영관 중 한자리도 꿰차기 힘든 이마당에 제3세계의 알려지지 않은 무수한 작품들이 쥐..

영화/ㄴ 2008.08.23

사운드로 느끼는 괴수물의 공포감

공포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사지가 절단되고 피가 스크린 가득 튀는 고어성? 아니면 시도때도 없이 눈알을 뒤짚고 얼굴을 디미는 귀신들의 깜짝쇼? 그것도 아니면 보기만해도 식욕이 마구마구 감퇴되는 혐오성 괴물의 출현? 진짜 무서운건 단지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유혈극 외의 요소들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법이다. 이런것들은 단지 시각적인 자극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비주얼이 관객에게 공포감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공포와 스릴을 느끼는데 있어서 '절대적'인 부분은 보이는 부분에 있지 않다. 진짜냐고? 만약 당신이 가장 무섭게 본 영화가 있다면 다시 한번 그 영화를 재생해 보라. 단, 볼륨을 0으로 놓고 말이다. 예전에는 화들짝 놀랐던 장면들이 그저 무덤덤하다고 느껴지지 않는가? 그렇다! 공..

올림픽 특집 - 감동의 스포츠 영화 15선

2008.8.8. 드디어 전 세계가 주목하는 스포츠 축제인 올림픽이 개막했다. 4년만에 개최되는 큰 행사인만큼 그 어느 행사보다도 뜨거운 열기가 느껴지는 가운데, 벌써부터 '각본없는 드라마'로 불리는 명장면들이 속속 연출되고 있다. 승부의 세계가 워낙 이변이 많은데다, 선수들 한명 한명의 땀의 결실이 느껴지기에 스포츠가 더욱 매력적이고 감동적인 것이 아닐까. 이제 올림픽에서 볼 수 있는 각종 스포츠를 영화화한 스포츠 영화의 세계로 초대한다. (특별히 추천작 옆에는 ★표시를 달아놓았다) 핸드볼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2004 아테네 올림픽 10대 명승부전에 손꼽힐만큼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여자 핸드볼 결승전을 모태로 구성한 팩션 드라마. 금메달보다도 더 값진 은메달로 온 국민의 눈시울을 뜨겁게 달구었던..

괴작열전(怪作列傳) : 큐티하니 - 나가이 고, 안노 히데아키의 괴상한 만남 (1부)

괴작열전(怪作列傳) No.55 최근 헐리우드 영화는 슈퍼히어로물이 대세입니다. [아이언맨]으로 시작해 [인크레더블 헐크]가 박스오피스를 점령한 가운데, 마블 엔터테인먼트에서는 자사의 히어로들을 총출동 하게 될 [어벤저스]라는 꿈의 프로젝트를 실현시킬 준비를 갖춰나가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만약 이들 히어로물의 아버지인 스탠 리 영감님이 없었다면 미국은 참 심심한 나라가 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미국에 스탠 리 할아범이 있다면, 애니메이션의 왕국 일본에는 누가 있을까요? 데즈카 오사무, 타카하시 루미코 같이 쟁쟁한 전,현역 만화가들이 손꼽히긴 하지만 역시 '이 분'을 빼놓고는 일본 만화사를 얘기할 수 없을 겁니다. 바로 '나가이 고' 선생이지요. 특히나 필자처럼 [마징가 제트]를 보고 자라온..

다찌마와 리: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 웰메이드 B급무비의 짜릿함

6,70년대 한국영화의 촌스런 컨셉을 특징으로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던 [다찌마와 Lee]의 극장판, [다찌마와 리: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이하 [(속)다찌마와 리])가 8년만에 돌아왔다. 과장된 제스쳐와 포복절도할 만한 대사로 관객들의 웃음보를 터트렸던 '다찌마와 리'가 이번에는 어떤 모습으로 자신의 캐릭터를 살리고 있을까? [다찌마와 Lee]이후 크게 눈에 띄는 행보없이 꾸준히 조연급의 배우로 성장한 임원희가 8년전의 모습으로 돌아와 처음으로 원톱 타이틀 롤을 맡은 만큼 [(속)다찌마와 리]에 거는 기대는 제작진에게나 관객에게나 남다를 수밖에 없다. 1.[다찌마와 Lee]의 성공 그 후.. 전작 [다찌마와 Lee]는 인터넷에 공개된 단편으로서 말 그대로 실험적 성격을 띈 비상업영화였다. ..

영화/ㄷ 2008.08.13

다찌마와 Lee - 의도된 엉성함에서 B급영화의 정수를 맛보다

류승완 감독의 [다찌마와 리: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가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이 작품은 2000년 아직 신인에 불과한 류승완 감독이 인터넷을 통해 공개한 35분짜리 단편영화를 극장판으로 확장한 속편이다. 전편인 [다찌마와 Lee]는 주연급 배우로서는 그다지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던 임원희를 캐스팅해 6,70년대 한국 협객영화의 스타일을 과장되게 표현해 제법 화제를 모은 작품으로서 비상업영화지만 입소문을 타고 상당히 많은 팬들을 확보했다. 이미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로 주목받은바 있으나, [다찌마와 Lee]는 류승완 감독이 차기작 [피도 눈물도 없이]라는 메이저 영화로 성큼 올라설 수 있는 결정적인 교두보 역할을 했다. 비록 초저예산으로 촬영된 단편 독립영화였지만 작품성과 재미는 여느 상업영화와..

영화/ㄷ 2008.08.11

고전열전(古典列傳) : 호피와 차돌바위 - 한국 애니메이션 최초의 스핀오프

고전열전(古典列傳) No.2 한국 최초의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아시는 분은 아실테지만 1967년 1월 21일에 개봉된 [홍길동]이 바로 그 첫 번째 작품입니다. 당시 '소년 조선일보'에 연재중이었던 신동우 화백의 [풍운아 홍길동]을 원작으로 삼아 형인 신동헌 화백이 감독을 맡은 이 작품은 125,300장의 셀을 1년간 수작업으로 그렸는데요 (참고로 1988년작 [아키라]의 경우, 135,000장의 셀이 사용되었음), 제작비만 5,400만원이나 든 (이 금액은 당시 실사영화 10편을 제작할 수 있는 막대한 거금이었음) 블록버스터급 대작이었습니다. 사실상 거의 맨땅에 해딩하다시피 제작된 [홍길동]이었지만, 상영 4일만에 관객 수 10만 명을 돌파하는 대박을 터트렸고 그 해 극장 상영작..

핸콕 - 변종 히어로 영화의 가능성을 제시하다

유난히 많은 슈퍼히어로물이 개봉되는 2008년의 극장가. [아이언맨]으로 포문을 연 헐리우드의 히어로들은 한달이 멀다하고 미국 국적의 히어로들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그중에서 [핸콕]은 유일하게 만화에 기반을 두지 않은 오리지널 캐릭터로서 까칠한 성격의 안티히어로라는 독특한 발상이 흥미를 자극한다. 블록버스터 전문배우 윌 스미스가 [나는 전설이다]이후 반년만에 돌아온 [핸콕]은 과연 아이언맨이나 헐크, 배트맨 등과 겨룰 만한 히어로의 파워를 보여줄 수 있을까? 1.이단아적 캐릭터 핸콕은 사고뭉치다. L.A의 범죄자들을 꽤 잡아들이긴 했으나, 슈퍼맨처럼 이타적인 히어로도 아니고, 배트맨처럼 자경단의 역할을 톡톡히 하는것도 아니다. 그냥 지 맘내키는데로 범죄현장에 나타나 한바탕 도시를 부수고 난리 부르스를 ..

영화/ㅎ 2008.08.04

고전열전(古典列傳) : 쇠사슬을 끊어라 - 놈놈놈의 모티브가 된 만주 웨스턴

고전열전(古典列傳) No.1 벌써부터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이하 놈놈놈)의 열기가 뜨겁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식 웨스턴이 생소하기도 하거니와 쟁쟁한 출연진에 김지운 감독이라니 이보다 더 구미가 당길 수는 없겠지요. 게다가 칸느에서도 호평을 받았다고 하니까 더욱 기대치가 높아지는 듯 합니다. 아시겠지만 [놈놈놈]은 추억의 웨스턴 [석양의 무법자]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의 제목과 몇몇 마카로니 웨스턴의 설정들에 모티브를 두고 있지만 정작 감독인 김지운은 이만희 감독의 만주 웨스턴 [쇠사슬을 끊어라]에 대한 오마주임을 공공연히 밝힌바 있습니다. 세르지오 레오네의 로부터 영향을 받은 건 사실이지만 그것에 대한 패러디, 오마주, 리메이크를 생각했던 건 아닙니다. 내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