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뷰 1081

마징가 제트와 최후의 결전 - [마징가 제트 대 데빌맨]의 한국판 코믹컬라이즈

[마징가 제트]의 극장판은 두 편이 제작된 바 있는데 그 첫번째 극장판이 원작자 나가이 고의 인기작 [데빌맨]과 [마징가 제트]를 크로스오버시킨 [마징가 제트 대 데빌맨]이었다. 약 43분 정도의 짧은 애니메이션이지만 헬박사가 악의 화신인 데몬족과 손을 잡고, 마징가 제트가 데빌맨과 힘을 모아 이에 맞선다는 이야기는 그 당시 브라운관을 뜨겁게 달궜던 두 작품의 팬들 모두를 열광케 했다. 육지 전용 기체인 마징가 제트는 이 작품을 기점으로 '제트 스크렌더'의 획득이라는 큰 수확을 거두며 하늘을 날게 된다. 비록 [마징가 제트 대 데빌맨]은 한국에 정식으로 소개된 적이 없으나[각주:1] [데빌맨]이라는 작품 자체는 의외로 꽤 오래 전부터 소개되어 왔었다. [마징가 제트]가 연재될 무렵 월간지 에서는 정남우 ..

속편열전(續篇列傳) : 인디펜던스 데이: 리써전스 - 안일한 자기복제의 함정

속편열전(續篇列傳) No.37 아마 영화 마니아들이라면 1996년을 잊지 못할 겁니다. 이 해의 극장가는 정말 대단했었거든요. 어디 한번 볼까요? 먼저 [트위스터]가 있습니다. [스피드]로 실력을 인정받은 얀 드봉 감독이 [고질라]를 고사하고 선택한 작품으로 흥행돌풍을 일으켰지요. 톰 크루즈가 직접 제작사를 차려 모든걸 쏟아 부은 [미션 임파서블] 리메이크의 흥행신화가 시작된 것도 1996년입니다. 어디 그 뿐인가요? 마이클 베이 감독의 순도 120% 오락영화 [더 록]과 아놀드 슈왈제네거 형님의 [이레이저], 오우삼 감독의 [브로큰 애로우] 이 해에 나온 영화죠. 한국에 국한되는 일이지만 마이클 만 감독의 걸작 [히트]도 1년 늦게 수입되는 바람에 1996년 극장가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그럼 가히 역대..

스타트렉: 비욘드 - 무난함의 미덕, 트레키의 감성을 자극하다

[스타트렉: 비욘드]는 이 세계관을 훌륭하게 리부트한 J.J.가 [스타워즈]로 가는 것이 확정되었을 때부터 여러 불안 요소를 가지고 시작한 작품이다. 먼저 후임으로 선임된 로베르토 오씨-그는 1,2편의 각본을 쓴 인물이다-가 감독으로 내정되었지만 각본 과정에서 심각한 불협화음을 내며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했다. 일단 로베르토 오씨가 구상한 [스타트렉 비욘드]의 각본은 대략 이렇다. 벌칸과 다른 외계 종족이 시간여행 장치를 손에 넣으려는 쟁탈전을 벌인다. [스타트렉: 더 비기닝]에서 벌칸족 행성이 파괴되는 것을 시간을 되돌려 막으려는 것이다. 또 한번의 시간여행 설정을 통해 노년의 커크선장(윌리엄 샤트너 분)과 젊은 커크가 조우할 수 있게 된다. 로베르토 오씨가 윌리엄 샤트너의 출연을 얼마나 간절히 희망했는..

[블루레이]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 확장판과 극장판의 차이

글 | 페니웨이 ( http://pennyway.net/) 맨 오브 스틸: 새로운 슈퍼맨의 여정 어디서부터 문제였던 것일까. 리처드 도너 감독이 [슈퍼맨 2]에서 하차하고 리처드 래스터가 그 뒤를 이어 받으면서 부터였을까. 아니면 판권이 캐논사에 팔려나가 역대급 괴작인 [슈퍼맨 4: 최강의 적]이 탄생한 그 순간이었을까. 그것도 아니면 팀 버튼의 [슈퍼맨 라이브즈]가 좌초될 때부터 였을까. DC의 간판 히어로 ‘슈퍼맨’의 영화화는 꽤 오랫동안 방향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었다. 특히나 브라이언 싱어가 [엑스맨]을 버리면서까지 만들고 싶어했던 팬심 가득한 헌정작 [슈퍼맨 리턴즈]는 기대 이하의 흥행성적으로 시리즈의 존속 여부를 위태롭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현재 로튼토마토 메타지수는 76%로 그리 나쁘지..

영화/ㅂ 2016.08.09

제이슨 본 - 정체성을 이어받은 시리즈의 자기 복제 혹은 사족

9년만에 제이슨 본이 돌아왔다. 그것도 폴 그린그래스와 맷 데이먼의 최강 조합으로 말이다. 첩보 액션의 방향성을 틀어버린 본 시리즈의 귀환은 팬들로선 엄청나게 흥분되는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다만 본 트릴로지의 숨은 주역들은 돌아오지 않았다. 로버트 러들럼의 원작을 초월 각색했던 토니 길로이와 세컨 유닛의 댄 브래들리가 빠진 건 우려할만한 요소다. 돌아온 [제이슨 본]은 기존 시리즈-엄밀히 말하면 [본 얼티메이텀]-의 자기복제다. 거의 동일한 플롯에 순서와 배경, 인물만 바뀌어 있다. 속편이 전편보다 좋았던 몇 안되는 케이스라 이 부분이 문제될 건 없어 보인다. 여전히 기억상실의 후유증에 시달리는 본에게 기억을 되살릴 단서가 하나 주어지고, 오랜 침묵 끝에 모습을 드러낸 본의 등장으로 CIA는 발칵 뒤집..

블루투스로 돌아온 스웨덴 핸드메이드 이어폰 Sudio Vasa Bla

하라는 영화 리뷰는 안하고 블로그를 거의 방치하고 있으면서 체험기 포스팅이나 한다고 욕먹진 않을까 싶어, 그간 이런 저런 제의들을 거의 거절하다시피 하고 있습니다만 간만에 포스팅을 해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제품이 하나 있기에 소개할까 합니다. 작년 말에 스웨덴제 핸드메이드 이어폰 Sudio KLANG 사용기를 올린 적이 있는데, 바로 그 회사에서 메일로 의뢰를 해왔더군요. 저 말고도 몇몇 블로거분들이 제안을 받은 것 같습니다만, 이 회사가 좀 특이한 것이 직원들 평균나이가 27세의 매우 젊은 회사라고 합니다. 한국이란 시장의 환경이 바로 옆엔 중국인데다, 국내 가전 브랜드도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이어폰으로 승부를 본다는 게 쉽지는 않다고 생각되는데, 국내 런칭한지 그리 오래되지도 않은 유럽계 회사에서 한..

아이 인 더 스카이 - 전쟁의 대가에 대한 딜레마

영화는 허구입니다. 이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 그러나 영화는 대중 미디어로서 현실의 단면을 조명하며, 이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최근 영화계는 ‘콜레트럴 데미지’ 즉 무력 행동으로 인한 민간의 부수적 피해에 대해 부쩍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히어로물인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와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은 그 대표적인 사례죠. 오죽하면 마블에선 마이너 이슈였던 [데미지 콘트롤]을 드라마로 제작하기까지 했습니다. 이전의 영화들이 이러한 콜레트럴 데미지를 대수롭지 않게, 혹은 전혀 의식하지 않고 놔두었다면 최근 영화들은 이 부분을 아예 갈등의 주요 요소로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현실에서 대중들이 느끼는 데미지 컨트롤의 피해가 보다 ..

영화/ㅇ 2016.07.13

게임속의 결투 - 김형배 화백의 만화판 [인디아나 존스] (2부)

-2부- [레이더스]의 속편인 [인디아나 존스: 마궁의 사원]은 개봉 당시 관객들도 거의 의식하지 못했겠지만 씨퀄이 아닌 프리퀄이다. 성궤를 찾는 모험 이전에 인도의 한 마을에서 상카라의 돌을 찾는 여정을 다룬 이 작품은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어둡고 음침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마블판 [인디아나 존스: 마궁의 사원] 코믹스 [레이더스]의 코믹컬라이즈 를 담당했던 김형배 작가는 속편인 [마궁의 사원] 역시 작업하였는데, 전작이 ‘어깨동무’에 실린 것과는 달리 속편은 월간 ‘보물섬’에서 연재되었다. 상하이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의 전개는 영화와 거의 유사하다. 사실 전편이 생략과 압축의 미를 잘 살려 100여 페이지에 영화 한편을 깔끔하게 담아낸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영화 속 줄거리를 거의 대부분 살리기 위해 ..

[블루레이] 빅 쇼트 - 현실 경제의 붕괴에 베팅한 아웃사이더들

글 | 페니웨이 ( http://pennyway.net/) 현실 경제의 붕괴에 베팅한 아웃사이더들의 이야기 마이클 루이스의 원작 소설을 영상으로 옮겨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한 [빅 쇼트]는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유발했던 서브프라임 사태를 다룬 영화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해 수많은 서민들은 피해를 보았고, 눈물을 흘렸고 현재까지도 고통받고 있지만 누군가는 이 거대한 패닉에서 살아남아 승자의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바로 이 영화는 금융시장의 붕괴에 베팅해 위기에서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다. 이 작품은 크게 4명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누구보다 먼저 서브프라임 사태를 예측했지만 투자자들의 불신에 맞서 홀로 외로운 싸움을 해야 했던 마이클 버리(크리스천 베일 분), 우울하고 냉소적인..

영화/ㅂ 2016.06.29

게임속의 결투 - 김형배 화백의 만화판 [인디아나 존스] (1부)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한 영화 [인디아나 존스]는 소설은 물론 게임, 코믹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프랜차이드로 발전했다. 그 중에서도 코믹스 버전은 시리즈 1편인 [레이더스]가 개봉된 1981년, 마블 코믹스를 통해 발표되었다. 마블은 뒤이어 [레이더스]에서 이어지는 몇편의 오리지널 씨퀄(1983~1986년 사이의 이야기)을 출판하였으며 영화판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의 코믹컬라이즈 시리즈를 내놓게 된다. 이후 [인디아나 존스] 코믹스는 다크호스 코믹스로 넘어가게 되는데, 여기서 발간된 작품은 게임으로 나왔던 [인디아나 존스와 아틀란티스의 운명], TV판인 [영 인디아나 존스], 그리고 4번째 영화 [인디아나 존스와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같은 작품들이다. 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