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이 3년이나 지난 제품에 군침흘릴 소비자는 없듯이 예술영화도 아닌 상업영화를 개봉한지 3년이 지난 이제서야 보겠다고 안달할 관객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몇몇 낯익은 헐리우드 배우들이 등장하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소리소문없이 개봉하는 [스톰브레이커]도 마찬가지다. 해외에서는 2006년에 개봉해 별 화젯거리도 되지 못한 작품이 이제와서 개봉하는 저의를 알 수는 없지만 혹시나 배우들의 유명세에 혹해서 관람을 결정하는 우를 범하는 관객이 없기를 당부하고 싶은 마음이 앞선다.
[스톰브레이커]는 영국 TV대본작가로 경력을 쌓아온 안소니 호로위츠의 첩보물 '알렉스 라이더'시리즈의 첫 번째 소설에 기반을 둔 작품으로 일반 첩보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첩보원인 알렉스가 '소년'이라는 사실이다. 물론 소년 첩보원을 주인공을 한 작품이 처음은 아니다. [스파이 키드] 3부작이나 [에이전트 코디 뱅크스] 같은 일련의 헐리우드 영화들은 모두 청소년 첩보원을 전면에 내세웠던 오락영화다. 이같은 주제설정이 얼마나 현실과 동떨어지는지는 삼척동자도 아는 바 차라리 이 땅의 어린이들이 보고 자랐던 애니메이션 '소년 007'쪽이 장르적 특화에 있어선 훨씬 성공한 케이스이었음을 이제서야 인정하게 될 줄이야.
ⓒ Walker Books. All rights reserved.
예상대로 [스톰브레이커]는 유치함 그 이상을 넘어서지 못한 진부하기 짝이없는 오락영화다. 500:1의 경쟁률을 뚫고 알렉스 라이더에 낙점된 신예 알렉스 페피터만으로는 미덥잖았는지 제작진은 이완 맥그리거나 미키 루크, 빌 나히, 알리시아 실버스톤 같은 스타들을 대거 포진시켰으나 이들의 존재감이 영화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 Samuelson Productions/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이완 맥그리거는 애초부터 까메오로 발탁된 것인지 영화 초반에 사라져 버리며 [파이널 디시젼]에서 스티븐 시걸이 공중낙하해 버리는 것 이래 최고의 허탈감을 안긴다. [레슬러]로 재기에 성공하기 이전의 미키 루크는 느물거리는 전형적인 악당을 연기하지만 눈가에 칠한 짙은 스모키 메이크업은 [놈놈놈]의 이병헌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증명할 뿐이고, '배트걸' 알리시아 실버스톤은 실로 간만에 모습을 드러낸 것 같은데, 팍삭 늙은걸 보니 그동안 참 고생 많이 했구나 하는 동정심만 유발할 따름이다. 그 외 썰렁한 유머로 관객을 낚으려하는 빌 나히와 앤디 서키스 외 이하 생략.
ⓒ Samuelson Productions/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스톰브레이커]는 가족용 영화로도 그렇다고 색다른 성인용 액션영화로도 부적합하다. 영화가 말하려고 하는 것이 죽은 삼촌에 대한 조카의 복수였다면 영화가 보다 비장해졌어야 했고, 가벼운 오락영화로 만들거였으면 철저히 아이들에 눈높에에 맞췄어야 했다. 북미에서 PG등급을 받은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미성년자에 의한 폭력이 관대하게 표현되는 것부터가 이 영화의 패착이다. 무술감독을 맡은 견자단의 홍콩식 액션이 반영된 전반부의 일당 백 시퀀스는 꽤나 쓸 만하지만 서양 꼬맹이의 견자단식 액션이라니, 부조화도 이런 부조화가 없다.
ⓒ Samuelson Productions/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자기 딴에는 007이나 [해리 포터]처럼 장수 프렌차이즈로 가길 바랬던 듯, 마지막에 가서는 속편을 암시하며 끝나지만 400만 달러의 제작비 중 절반밖에 회수하지 못하는 덕분에 관객들은 1편으로 끝나는 이 시리즈의 종말로 인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게 되었으니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결론. 이런 영화야말로 DVD직행으로 족하다.
* [스톰브레이커]의 모든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 Samuelson Productions/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영화 > 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셜록 홈즈 - 고정관념을 탈피한 19세기 영국의 슈퍼히어로 (37) | 2010.01.04 |
---|---|
솔로이스트 - 음악영화 아닌 성장 드라마 (16) | 2009.11.20 |
스톰브레이커 - 틴에이저 첩보영화의 명확한 한계 (25) | 2009.11.05 |
싸이보그 그녀 - 엽기적인 그녀의 잔재는 여전하다 (32) | 2009.05.15 |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 저널리즘의 본질은 진실추구인가, 선정성인가 (21) | 2009.04.23 |
슬럼독 밀리어네어 - 대니 보일의 로맨틱 판타지 (36) | 2009.03.2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소설의 첫 부분을 보다 덮은 기억이 납니다.
2009.11.05 10:23예전에 KBS에서 방연했던 [James Bond Jr.]도 떠오르네요.
[나홀로 집에]나 이런 영화를 보면, 미국은 의외로 미성년자의 폭력묘사에 관대한 것 같습니다.
제임스 본드 주니어라.. 미감상인데 왠지 괴작의 냄새가 나는것이 화악 끌리는군요.
2009.11.05 10:27 신고본문에 [나홀로 집에]를 언급할까 하다가 넘어갔는데, 정말 미성년자의 폭력에 대해 미국이 많이 관대한듯 합니다.
[James Bond Jr]는 SBS에서 방영했던 애니메이션입니다.
2009.11.05 15:27이름이 'Jr' 지만 제임스의 본드의 아들인건 아니고 '조카'라는 설정.
http://en.wikipedia.org/wiki/James_Bond_Jr
이것 참 감사한 리뷰로군요.
2009.11.05 10:24 신고많은 사람들이 극장에 가서 돈 버리고 맘 상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니... ^^;;;
이완 맥그리거에 대해서는 파이널 디시전의 시티븐 시걸을 예로 들어 주시니
얼마나 허망한지 확 느낌이 옵니다. 크크
영화 내용도 이 모양이고, 만든지도 3년이나 지났는데
무슨 생각으로 지금 국내 개봉을 하는 건지 정말 궁금하네요. -_-;;;
아직 극장가 비수기가 채 끝나지 않았으니 호화캐스팅으로 틈새를 노려보려는 전략같은데 저같으면 그런 모험은 하지 않겠습니다. ㅡㅡ;;
2009.11.05 10:29 신고<소년007>! 정말 오랜만에 보는 이름이네요. 주제곡도 기억납니다. "007 007 소년007~~♬"
2009.11.05 11:51틴에이저 첩보영화는 철저히 애들시각에 맞추지 않으면 유치한 어른영화가 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어릴때 본 <F학점 첩보원>이란 영화도 기억나는데, 이게 약간 성인코드가 있는 유치한 영화라 애들이나 어른이나 그다지 재미없어했던 것으로 압니다.
[스톰브레이커]의 컨셉은 뭐랄까 [본 얼티메이텀]의 유아용 버전 같은 리얼한 스파이키드 정도로 해석되는데.. 내용이 너무 유치해서 할말이 없더군요. 무엇보다 캐릭터들이 하나같이 비호감..
2009.11.05 12:02 신고작년쯤인가? 묻지마 살인의 범인이 소년들이었다는 .. 내용의 영화가 충격실화라고 개봉했던게 새삼 떠오르네요.(소년 폭력의 정당성 얘기가 나오다 보니 떠오른다는) 나홀로집에 시리즈 같은 경우 1편은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의 두어른 배우의 슬랩스틱 코미디 .. 그리고 악동꼬마가 나쁜 어른들을 혼내 준다는 통쾌한(?) 설정등을 바탕으로 하여 정말 배꼽 잡는 코미디로 분류해 줄 수는 있었습니다. 그러나 2편의 경우 .. 개봉 당시에 극장에서 보고 왔던 사촌형의 말이 아직도 생생히 기억납니다. 코미디라고 생각 안하고 보면 정말 무서운 공포 영화라고 .. 맞는 말이라고 공감하는게 .. 코미디 장르라고 생각안하고 보면 정말 소름 끼칩니다. 그리고 그 어른을 공격하는 주체가 이제 열살 남짓한 꼬마아이라면 ..(가끔 마트나 동네에서 4가지 없이 까부는 꼬맹이들을 보면 짜증나는데 그런 아이들이 폭력적이기 까지 한다면 ㅡ_ㅡ) 나홀로집에2 같은 경우 관객들이 이건 코미디다 .. 이건 코미디다 .. 라는 자아최면 없이 보았다면 공포영화로 분류될 영화였을 겁니다 ㅎㅎ
2009.11.05 12:18오랜만에 글을 남기며 포스팅에서 약간 삼천포로 빠져 길게도 남겼네요 .. 한달여간 눈팅만 해오다 간만에 글을 남기려니 .. 손이 제대로 풀린 듯 ^^
그러니 평상시에 많은 답글을..^^;;
2009.11.05 13:03 신고공포영화 중에서도 슬래셔 쪽이었죠. 너무 잔인했습니다.
2009.11.05 20:24 신고두번째 이미지중 가운데 여인네가 .. 실버스톤인 줄 알고 .. 깜딱 놀랬습니다 .. 정말 이 아해는 지난 십여년의 세월동안 어찌 관리를 했길래 이런 슈퍼동안 이야 ???? 했던 .. 역시나 .. 왼쪽 아줌마 포스의 여인이 실버스톤 ㅋ
2009.11.05 12:28두번째 이미지를 계속 보고 있자니 빅뱅이나 소녀시대 같은 아이돌이 출연한 영화에 안성기 박중훈 정우성 이병헌 등의 스타들이 대거 찬조 출연해 준 느낌이 드네요 ㅋ
실버스톤.. 참 반짝 배우로 끝났죠. [배트맨과 로빈]을 끝으로 아웃오브안중. ㅠㅠ
2009.11.05 13:03 신고음..광고보고 간만에 액션 보려고 봐봤는데.. 간만에 영화가 참 재미없다고 느꼈습니다.-_-;
2009.11.05 14:10왠지 모를 어설품이 영화 곳곳을 덮고 있어 실망. 구분이 알리시아 실버스톤이었군요.아줌마가 다 되버려서 -_-;
꽃미남 좋아하는 중고딩들은 좋아하려나? 쩌비 -_-;
같이본 G-force도 약하긴 했는데, 애들 보기엔 볼만하던데, 이건 참...쩌비..
지포스는 한국 개봉을 안했는데, 레디님 외국 사시는가봐요. 저는 광고보고도 어째 불안하던데.. 에구..
2009.11.06 09:29 신고왜 이런 혹평에 전 더 신이 나서 글을 보게 되는걸까요 껄껄껄
2009.11.05 19:49왠만하면 혹평을 잘 안하는 편입니다만 이건 정말이지..
2009.11.06 09:29 신고보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껄껄껄
2009.11.05 20:25 신고시간이 아까울 뿐이지요 ㅡㅡ;;
2009.11.06 09:29 신고이완 형님이 초반에 죽는 티져영상보고 아쉽다고 생각했었는데.. 뭔가 반전이 있지는 않나 보군요 ㅋㅋ
2009.11.06 00:25그리고 미국인들은 동양의 무술이나 액션에 대한 어떤 동경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역시...
파란 눈에 노란머리.. 길쭉한 팔다리 유전자는 동양 무술과 그리 어울리는 그림은 아닌 것 같습니다 ㅋㅋ
[파이널 디시젼]을 언급한게 그런 이유입니다. 막판에 짠하고 등장해주지나 않을까 하는 기대감. 그리고 실망감.. ㅡㅡ;;
2009.11.06 09:30 신고아~! 이런 영화도 있군요.
2009.11.08 12:34찾아봐야하나요?
그럴필요는 없다고 사료되오~
2009.11.08 21:18 신고전 영화보단 미키 루크의 모습이 더 돋보이더군요.
2009.11.16 10:49레슬러 찍을 시절의 그 얼굴에서 많이 회복한것 같아서 말이죠 ㅎㅎ 어머니께서 미키 루크가 옛날에 정말 잘 생겼다 하시길래 좀 찾아보고 나서 정말 안타까워 했었습니다. ㅋ
예전 국내가요 가사중에 '미키 루크'가 들어간 노래가 있었습니다. 핸섬함의 대명사로 '미키 루크'를 사용했더랬죠. 그 노래가 뭐더라.. ?
2009.11.16 10:57 신고개인적으로 이런 작품 중 재미있게 봤던데 F학점 첩보원이었습니다. 당시 초등학교 때 봤을 때는 상당히 재미있었죠.
2009.11.18 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