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엔 형제의 신작 [더 브레이브]는 헨리 헤서웨이 감독의 1969년 작 [진정한 용기]를 리메이크한 영화입니다. 따라서 [더 브레이브]를 얘기하기 전에 먼저 [진정한 용기]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이 작품은 찰스 포티스가 1년전에 발표한 인기 소설을 영화로 재구성해 비교적 무난한 각색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오랜 세월 서부극의 심볼로 군림한 존 웨인은 그의 영원한 영화적 동지였던 (검은 안대의 애꾸눈을 한) 존 포드 감독을 연상시키는 캐릭터 루스터 역을 맡으며 마침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거머쥐게 되지요.
사실 [진정한 용기]는 정통 웨스턴 무비나 마카로니 웨스턴, 그리고 수정주의 웨스턴과도 동떨어진 매우 묘한 독창성을 지닌 서부극이었습니다. 통상 남초들의 세계로 표현되는 웨스턴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에서의 주인공은 사실상 무적의 존 웨인이 아니라 그에게 일감을 의뢰하는 소녀 매티(킴 다비 분)거든요. 게다가 악당의 이미지 또한 기존 서부극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띕니다. 원래대로라면 매티의 아버지를 죽인 복수의 대상자 톰 채니가 악의 화신처럼 등장해 통쾌한 최후를 맞이해야 할 터인데, 실상 채니는 정말 보잘 것 없는 건달일 뿐 실질적인 최종 보스는 아주 짧게 등장해 젠틀한 매력을 보여준 네드 페퍼(로버트 듀발 분)입니다. 그리고 당시 영화계의 기준으로 보면 손가락이 잘려나가는 장면의 표현수위도 상당히 높은 편이었지요.
ⓒ Paramount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이제 그럼 코엔 형제의 [더 브레이브]로 들어가 봅시다. 이번 리메이크판의 전체적인 골격은 헨리 헤서웨이의 작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주인공은 여전히 매티이고, 여기에 연방보안관 루스터와 텍사스 레인저 라뷔프가 가세해 그녀의 복수극에 동참하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코엔 형제는 여기에 약간의 변주를 줍니다. 영화의 인트로부터 이러한 변화의 조짐이 느껴지는데 1969년 오리지널과는 달리 [더 브레이브]는 이미 성인이 된 매티의 회상형식으로 진행된다는 것이죠.
그리고 주요 플롯 중 한가지가 변경되었는데, 원래 헤서웨이의 작품에서는 이 3인방이 추격이 시작되는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붙어다니지만 [더 브레이브]에서는 라뷔프가 따로 독자적인 행동을 하는, 즉 매티-루스터와 라뷔프 두 팀이 따로 움직이는 시간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로서 세 사람이 티격태격하는 오리지널의 재미는 조금 반감되었지만 대신 매티와 루스터의 관계는 오리지널에 비해 보다 견고하게 묘사되어 있고, 두 사람에 비해 비중이 떨어졌던 라뷔프는 오히려 그만의 독자적인 매력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게 됩니다. (이는 아마도 맷 데이먼이라는 원톱급 스타가 조연으로 가세한것과도 무관하진 않겠지만요)
[더 브레이브]는 굳이 원작을 재해석하거나 무리한 변화로 자신을 돋보이게 만들려는 풋내기 감독들의 조급증을 답습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코엔 형제는 원작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듯 영화의 스타일을 상당히 정통적인 웨스턴 무비의 이미지에 가깝게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그들만의 재기발랄한 블랙유머(일명 '네고씬'은 원작과 비교가 안될만큼 재밌습니다)와 더불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로 증명된 특유의 건조한 스릴러적 기법을 첨가해 영화를 한층 더 돋보이게 한것도 무척 영리한 선택입니다. (1969년판과는 달리 밤으로 배경을 바꾼 오두막집 시퀀스의 긴장감은 정말이지 놀라울 정도입니다)
ⓒ Paramount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사실 이번 리메이크에서 가장 우려했던 점은 존 웨인이 맡았던 루스터 역을 누가 어떻게 소화해낼 것인가 하는 점이었는데요, 중년 이후에 접어들면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는 제프 브리지스는 베테랑다운 명연기로 그러한 우려를 단번에 불식시킵니다. 그에게서 더 이상 존 웨인의 잔상은 오버랩되지 않으며, 루스터 코그번이라는 인물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안대의 위치도 존 웨인과는 다르죠 ㅎ) 최근 잇다른 리메이크 작품들의 실패 요인 중 하나는 바로 원작에서의 배우가 연기한 캐릭터를 뛰어넘지 못한 요즘 배우들의 한계인데, 그런 의미로 볼 때 현 시점에서 제프 브리지스를 능가할 만한 연기자는 그리 많지 않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여기에 주인공 매티 로스 역을 맡은 헤일리 스타인펠드 역시 기대 이상의 호연을 보여줍니다. 똑부러지면서 용기있고, 극단적으로 차분한 그녀는 어른들을 압도하는 존재감의 소유자로서 한편으로는 아이치곤 지나치다 싶을 정도의 계산적이고 비타협적인 면모 때문에 원작이 보여주었던 가혹한 결말도 수긍하게 됩니다. 사실 이번 리메이크에서 코엔 형제가 거둔 가장 큰 성과는 바로 이 점이라고 할 수 있죠. 다소 헐리우드 적인 말랑말랑한 엔딩으로 처리했던 헤서웨이 버전보다는 코엔 형제의 리메이크가 원작의 뉘앙스를 더 잘 표현했다고 할 수 있어요. 역시 만만찮은 형제 감독입니다.
악당에 대해서도 말하지 않을 수가 없군요. 이번 작품에서 톰 채니를 맡은 배우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조쉬 브롤린입니다. 등장시간은 많지 않은데, 매티와의 조우씬에서 상당히 깊은 인상을 주더군요. 여기에 네드 페퍼는 우연의 일치인지 똑같은 성을 가진 배우 베리 페퍼가 맡았습니다. 외모만으로 보자면 1969년 작의 로버트 듀발 보다 한 세배쯤 지저분한 면상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사도 정신을 가진 묘한 매력의 악당이라는 점에서 그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스핀오프라도 하나쯤 나와줬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리하자면 [더 브레이브]는 상당히 잘 빠진 서부극입니다. 시대적으로 퇴색할 수밖에 없던 장르인 서부극을 21세기의 관객취향에 맞게 리메이크한 코엔 형제의 솜씨에는 그저 감탄할 수밖에 없군요. 근래 본 영화 중에 가장 긴 여운을 주는 작품입니다.
P.S:
1.원제인 True Grit이 도대체 어디가 어떻게 못마땅한것인지 왜 국내에서는 작명을 요 따위로밖에 못하는 걸까요? 차라리 그냥 [진정한 용기]라고 하던지. 아 정말 촌시러워서.....[더 브레이브]가 뭐냐고.
2.영화를 보기전에 헤서웨이의 [진정한 용기]를 먼저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 봅니다.
3.스릴러면 스릴러, 코미디면 코미디, 갱스터면 갱스터, 이젠 서부극까지.... 도대체 코엔 형제가 못만드는 장르가 뭔가요? ㄷㄷㄷ
* 본 리뷰에 사용된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단, 본문의 내용은 작성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정말 더 브레이브 뭔가요! 트루 그릿이 뭐가 어때서 ㅠㅠ
2011.02.25 09:20제발 제목가지고 장난질 좀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2011.02.25 09:29 신고으... 정말 제목 장난질 어쩔...
2011.02.25 09:42어쨌거나 꼭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리뷰로군요. :)
페니웨이™ 님께서 즐거운 마음으로 썼다는 느낌이 확 옵니다. ㅎㅎ
간만에 보는 수작 서부극이었어요.
2011.02.25 16:09 신고어제 봤는 데,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2011.02.25 11:30제프 브리지스는 알콜중독자 연기에 맛을 들인 게 아닐까 싶을 정도더군요.
맷 데이먼은 고지식함과 찌질함 사이에 있는 인물을 소화하는 데 뛰어난 것 같아요.
베리 페퍼는 [배틀필드] 이후 내리막길이라 아쉬웠는 데, 오랫만에 보니 반갑네요.
베리 페퍼는 정말 아쉽죠.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선 그렇게 멋진 스나이퍼로 나오더니만 [배틀필드]로 바로 캐망..ㅜㅜ 이번 작품에선 비중은 작지만 나름 인상적인 배역이어서 맘에 들어요.
2011.02.25 16:09 신고오늘 볼 예정인데 이렇게 소개글로 먼저보게되니 더욱 기대되네요. ^^;
2011.02.25 11:36넵 후회는 안하실겁니다. 코헨 형제니까요 ㅎㅎ
2011.02.25 16:10 신고나이들면서 멋져지는 배우가 한명 또 늘었네요.
2011.02.25 12:17제프 브리지스 하고 다니엘 데이 루이스는 거의 뭐 연기의 달인이 된 듯한.. ㄷㄷㄷ
2011.02.25 16:14 신고형제여서 더 다양한 도전이 가능한 것 같아요. 혼자라면 힘들었지 않았을까요.
2011.02.25 13:33아무래도 각본도 연구해가며 상부상조하는게 있겠죠?
2011.02.25 16:14 신고저러면 한국인들도 보기 그렇지만 외국인들은 대놓고 비웃더군요. 예전에 '히 러브스 미'가
2011.02.25 14:28극장에 걸렸을 때, 공항으로 미국인 친구를 마중나갔던 적이 있습니다. 한국어도 곧잘 하는
친구였는데, 공항버스를 타고 혜화동으로 가는 도중에 신촌 녹색극장에 걸린 간판을 보더니
한국에서는 왜 제목을 번역하지 않고 저렇게 쓰는 거냐며 묻는데, 얼굴이 화끈거리더군요.
참, 미용계나 의류업계, 예술계통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사대주의적 영어 사용에 대해서는
언제나 한심한 생각이 들 뿐입니다. 이런 작태가 도대체 언제나 개선이 될는지 원.
국제망신이로군요 ㅠㅠ
2011.02.25 16:15 신고1. 사실 [트루 그릿]을 진정한 용기라 번역하는 것도 썩 뉘앙스가 잘 살아나지는 못하죠.
2011.02.25 16:13'허세가 아니라 제대로 된 배짱' 정도로 해석되어야 하려나... 그냥 [트루 그릿]으로 갔어야 했어요.
2. 원작에서 여주인공은 어린 소녀는 아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극중에서는 18세인가로 나오고
실제 배우는 20살이 넘었다죠, 아마? 당시 헐리우드에서 이런 영화에 진짜 미성년자를 고용하기는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3. 미스터 라뷔프가 맷 데이먼이란 사실을 나중에 크레딧 올라가면서야 알아차렸다능...ㅋㅋ 분장이 참...
4. 제프 브리지스의 연기야 감히 흠잡을 수 있겠습니까만 불만은 다소 있습니다.
무례하고 지저분하고 하여간 별로 호감이 가지 않는 늙은 보안관 캐릭터를 맡기에 그는 너무 멋있잖아요.^^
5. 사실상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역시 서부극의 변종이라고도 할 수 있었으니, 코헨 형제가 서부극을
만든 게 놀랍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이 영화가 북미에서 1억 달러를 넘겼다는 게 더 놀랍다능...
6. 아카데미 여우 주연상은 매티 역을 맡은 스타인펠트 양에게 주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살짝...ㅎㅎㅎ
뭐 나탈리 포트만이 받겠습니다만...
7. 사실 [127시간]을 보러 갔었는데, 세상에 개봉 1주일만에 내려버렸다니요... ㅠ.ㅠ
[127시간]은 이미 두달전부터 줄창 시사회로 뿌리는 바람에 볼사람은 이미 다 봤다는 슬픈 전설이 있습죠.
2011.02.25 16:16 신고이...이런 아직 [127 시간] 이번주에 보려고 했었는데...!
2011.02.25 19:06스타인펠트 양은 조연상 후보 아니었나요? ㅎㅎ
2011.02.25 19:15 신고원작이 국내에서 발매됬는데 제목은 진정한 용기죠;;;
2011.02.25 16:25더브레이브는 누구머리속에서 나온건지 참;;;
원작소설은 원제 그대로 '트루 그릿'이런 제목으로 발간되었고, 존 웨인 주연작은 [진정한 용기]로 발매되었습니다.
2011.02.25 16:29 신고긴 여운을 주는 작품이라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요즘도 이런 얘기가 통할 수 있구나.. 싶어 놀라웠고요. 영화가 끝난 후에도 잔잔한 감동이 남아있네요. 동시에 역시 코엔 형제는 나아가야 할 때와 머물러야 할 때를 스스로 너무 잘 알고 있는 분이라는 걸 '새삼스레' 다시 깨달았습니다. ㅎ 리뷰 잘 읽고 갑니다!
2011.02.25 16:33역시 DP분들의 영화보는 시각은 예사롭지 않습니다^^
2011.02.25 16:34 신고문학수첩에서 나왔던걸 생각했는데 트루그릿 밑에 작게
2011.02.25 18:39진정한용기 라고 적혀있네요 ^^;;;
제 시력과 기억력이 점점 감퇴되는군요 ㅠ.ㅠ
노화현상입니다 받아들이세요 ㅎㅎ
2011.02.25 19:17 신고배우들 연기만으로도 훌륭 그 이상의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2011.02.25 19:15 신고코엔 형제는 정말.. ㅎㄷㄷ
아 정말 배우들 연기가 하나같이 명품급 ㄷㄷㄷ
2011.02.25 19:20 신고이제 아카데미 수상기대작들이 대거 개봉하는 군요...
2011.02.25 19:47<트루 그릿>, <블랙 스완>, <파이터>, <킹스 스피치> 까지.... ㅎㅎㅎ
극장길이 바빠지겠네요.
원래는4월개봉인가 그랬죠. 서둘러 개봉하긴 합니다만 타이밍이 늦은감이 있습니다
2011.02.25 19:19 신고코엔형제의 감각은 정말 장난아니거같아요.
2011.02.26 00:25정말 다재다능한 감독들입니다.
어떠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더라도 자신만의 색을 입힐수 있는 감독...
정말 몆않되요...
대단함...
영화 제목 번역중에 최고는 사랑과 영혼 (GHOST)....분노의 역류 (BACKDRAFT)....폭풍속으로 (POINT BREAK).....
정말 이렇게한다면 정말 멋지겠지만 더 브레이브는 좀...-_-
브래드 랜프로가 나온 [굿바이 마이 프렌드]도 원제인 The Cure보단 국내 제목이 더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나 이런 케이스는 가뭄에 콩나듯 가끔... 나머진 캐망.. ㅜㅜ
2011.02.26 09:22 신고개인적으로 서부극은 그리 좋아하지 않지만 코엔형제 팬이라 봤는데 너무 마음에 든 작품이었어요.
2011.02.28 00:35제프 브리지스와 헤일리 스타인펠드의 연기도 무척 좋았고 사진도 멋졌구요.
오두막 씬은 분위기 너무 좋더군요.
코헨형제의 인터뷰들을 읽다보니 리메이크가 아니라고 강력히 주장하던데요. ^^
오히려 원작을 그네들만의 스타일로 각색을 한거라며. <진정한 용기>에서 매티 로스를 20대로 선정했는데
소설에선 13살이었다는군요. 어쨌든 유머와 인간미가 적절하게 우러나는 잘만든 서부극인건 확실하죠.
[진정한 용기]에서 연령대를 조정한건 당시 아동 노동법에 저촉되어 십대 미성년자를 쓰기에는 제약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2011.02.28 10:36 신고아 원작에서 말타면서 총을 쏘는 존 웨인이 떠오르네요 말 고삐를 놓고 총을 쏘는 자세란~ 캬~ 터미네이터2의 아놀드 주지사님의 말 버전 아닐까 싶네요
2011.02.28 11:42장총 리로드 시퀀스는 [진정한 용기]가 원조죠. 말고삐를 입에 물고 질주하는 존 웨인의 포스란.. ㄷㄷㄷ
2011.02.28 11:44 신고음.. 다음 코엔형제의 목표는....
2011.03.03 02:19애니메이션, SF, 산업혁명 이전 시대극, 무협, 중세 판타지......
정말 코헨형제의 SF를 함 보고 싶네요^^
2011.03.03 10:09 신고코엔형제의 작품이라 보는 사람이 많을 것 같아요. 제가 본 영화는 많지 않니만, 코엔형제의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더군요~ 국내로 들여올 때, 작명을 어떻게 하느냐도 중요한 요인인 것 같네요. Reignman님은 오히려 이름을 잘 지었다는 평을 하셨더군요. ㅎ
2011.03.15 22:11헐.. 레인맨님이 어인일로 그런 발언을.. ^^;;
2011.03.16 09:20 신고아직 살아온세월이 20년밖에 안되서,,
2011.06.15 21:10서부 영화라고 본건 3:10투 유마 밖에 없는데, 포스트 보고나니 흥미가 생기네요,, 러셀 크로우를 좋아해서 그런진 모르겟지만 서부영화 장르도 재밋더군요ㅋ
이 영화도 조만간 봐야겟습니다^^
서부극으로는 손으로 꼽을만큼 잘만든 작품입니다^^
2011.06.15 22:02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