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딸을 찾는 아버지의 고군분투를 다룬 영화 [서치]는 북미 시장에서보다 한국에서 더 큰 흥행 수익을 낸 특이한 작품입니다. 물론 [비긴 어게인] 같은 작품도 그런 적은 있었습니다만 [서치]처럼 스릴러 장르물이 이런 결과를 낸 건 아무튼 이례적인 일이라고 봐야 겠죠.
이건 단순한 입소문 때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 확실히 [서치]는 한국 관객들의 입맛에 맞을 듯한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습니다. 일단 주인공 존 조가 한국계 헐리우드 배우라는 건 다 알려진 사실. 게다가 극중 배역도 한국계 미국인 가정이라는 설정으로 가고 있습니다. 이는 헐리우드에서 극히 드문 일이죠. 이러한 점이 모종의 친숙함을 더하는 데다 스릴러 장르로서 손색없는 매끈한 편집과 적당한 반전, 그리고 여기에 부성애라는 테마가 겹쳐진 다소 신파적인 요소가 절묘한 황금비를 이루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서치]는 영화적 완성도가 무척 높은 작품입니다. 카메라가 피사체를 직접 비추는 방식이 아닌, 오로지 IT 장비에 비춰진 화면을 담는 것만으로도 내러티브 구축이 가능하다는 걸 보여준 셈이거든요. IT 기기 홍수의 디지털 시대에 딱 들어맞는 영리한 영화, 말하자면 SNS시대의 [추격자]입니다.
ⓒ Sony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물론 이러한 서사 진행을 이끌어가다보니 다소 작위적인 연출이 눈에 띄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사실 딸의 살해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점에서 담당 형사와 아버지가 단지 ‘영상 통화’만으로 진행 상황을 주고 받는 거 자체가 현실성은 많이 떨어지는 편이지요. 그러나 그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시대이기 때문에 위화감이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만 사실 이 영화는 디지털 세대의 문제점, 기술적인 발전을 들여다보는 영화이기도 하지만 원래의 주제는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이라고 봐요. 제가 ‘아버지의 사랑’이라고 하지 않은 데에는 그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묘한 대비를 이루는 사랑의 방식이 말하려는 건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라 보거든요. 그렇기에 이 영화의 결말은 조금 슬펐습니다.
존 조 라는 배우의 원톱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스타급 배우 없이도 몰입도가 장난 아닌 작품입니다. 여담이지만 이런 영화가 좀 더 많이 나와줘야 합니다. 이젠 크기나 규모의 영화보다는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P.S:
1. #구글 만세
2. #맥북으로 바꿔야 하나
3. #아이폰은 진리
4. #누가 부성애를 모성애보다 못하다고 하나
5. #황석희 본좌의 번역은 언제나 진리
* 본 리뷰에 사용된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단, 본문의 내용은 작성자에게 권리가 있습니다.
'영화 > 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레이] 수퍼 소닉 BD - 게임계의 수퍼스타, 소닉의 실사영화 (2) | 2020.07.23 |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MCU 페이즈 3의 상큼한 피날레 (7) | 2019.07.08 |
서치 - SNS 시대의 추적 스릴러 (9) | 2018.10.12 |
[단평] 쓰리 빌보드 - 증오의 시대에 던지는 메시지 (0) | 2018.03.09 |
스파이더맨: 홈커밍 - MCU의 부분집합, 그리고 경량화된 스파이디 (7) | 2017.07.19 |
[단평] 싱글라이더 - 여운 날려버린 반전의 무리수 (4) | 2017.03.1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소문 듣고 한 번 봐야겠다 생각만 하고 있다가
2018.10.12 16:45추석 연휴 중 야밤에 갑자기 의욕이 타올라서 집 근처 극장에 가서 봤는데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배우들을 직접 잡지 않고 기기 화면을 통해서만 보여주는 것에서
오는 부자연스러움이 당연히 어느 정도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봤는데 거의 느껴지지 않더군요.
말씀하신 것처럼 좀 부자연스럽더라도 '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진 것 같아요.
한 번 더 볼까 생각도 했는데 타올랐던 의욕은 사라지고 귀차니즘을 이기지 못해
재감상은 BD 출시 이후로 미뤘습니다...
P.S. 태그가 눈에 띄네요. '아빠 만세'. 크크 페니웨이님도 만세입니다. ^^
이건 필 관람입니다. 올해의 발견이에요^^
2018.10.15 17:41 신고블로그도 sns의 한 부류이긴 하지만 ..요즘 트위터니 페이스북이니 인스타그램이니 등등의
2018.10.12 17:58것들은 정도 안가고, 따라 가지도 못 하겠더군요 .. 유튜브 포함 ..
언제든 들어와 글들을 곱씹어 볼 수도 있고 주인장의 각 댓글이나 방문자들의 댓글들을 감상한는 맛도 있구요 ..
해시태그니 실시간 댓글이니 보다보면 눈이 @_@ ㅋ
이제 마흔넷인데 늙은 건가 싶은 .. ㅠ_ㅠ
스릴러 장르를 좋아 하면서두 이 영화에 안 끌리는 이유인가 봅니다 ㅋㅎ
그래도 페니님 추천이니 일단 맘 속애 저장 ~
SNS의 기능적인 부분을 다루기도 하지만 실은.. 진리의 맥북이 주인공인.. 그런 영화입니다.. ㅎㅎ
2018.10.15 17:41 신고상당히 재밌게 봤습니다. 특히 유료결제창 나올때 극장에서 탄식들이...ㅎㅎ
2018.10.12 21:53보고나서 지인이 구글검색이 저렇게 대단했나? 라고 할정도로 구글 능력이 대단하게 나와서
좀 당황했습니다;;; 더군다나 아이폰 유저인데도 모르는 기능들이...ㅠ.ㅠ
PS : 딸로나운 배우분의 나이에 또 한번 더 놀라기도 했습니다...
전 뼛속까지 아이폰 사용자라 더 실감이 났고... 구글의 검색능력에 더 놀랐고...이게 미국인들의 삶인가 싶더라구요.
2018.10.15 17:42 신고SNS를 다루는 방식이 너무나 세련되고 정확해서 놀랐습니다.
2018.10.16 11:48 신고더불어 윈도우 XP가 그야말로 "한물 간 구세대의 나름 쓸만하긴 했던 환경"임을 너무나 매끈하게 잘 묘사했죠.
황본좌님의 번역은 뭐 그야말로 "언제나 그렇듯이 역대급"이었어요.
두 번 봤는데, 처음 볼 때 간과한 부분들이 등장할 때 이마를 안 칠 수가 없더군요.
아버지가 딸의 사생활을 (비록 좋은 의도에서지만) 샅샅이 파헤칠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로 '스릴러'라고 하는 분들도 있죠(...)
2019.01.10 23:22그 점은 뭐... 비단 가족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세대의 온라인 상에서 신상을 까는 문제와 직결되는 거라... 좀 무섭긴 합니다.
2019.01.11 09:32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