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민심이 바닥에 떨어진 적도 드물…..다기 보단 뭐 언제나 뭇백성들의 고된 삶은 끊이지 않았습니다. 백성들을 지키는 것보다 그 잘난 종묘사직을 보존하거나 옥체를 보존하고자 강화도로 내빼는 것이 급선무였던 조선 왕조의 치졸한 행태는 6.25 사변이 일어나고 한강다리를 끊어가며 제 살길을 찾아가기 바빴던 국가원수의 모습으로 이어졌죠. 이로인해 평민들의 삶속에는 언제나 피해의식이 자리잡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연극 [수상한 궁녀]는 조선시대 왕실을 배경으로 한 일종의 풍자극입니다. 후손을 낳지 못하는 중전 때문에 (그러나 실은 왕이 씨가 없는….-_-) 매년 후궁을 들이는 조선 왕실. 10년간 후궁을 물색해오던 제조대감 이인문과 상선은 이번이 실패하면 죽음을 각오하라는 왕의 엄명 때문에 고심하던 차에 우연히 아들만 열 다섯을 낳아 키우던 흥부의 처를 만나게 됩니다. 흥부 아내의 천부적인 수태능력에 탄복한 이들은 흥부의 처를 처녀라고 속여 후궁으로 입궁시키게 되지요.
마침내 흥부 처가 왕의 아이를 수태하자 이에 왕실의 권력지도는 새로운 양상을 띄게 됩니다. 이인문은 단숨에 예조판서의 자리에 오르고 흥부 아내까지 빈으로 추대되자 중전과 중전의 남동생인 도승지는 권력을 잃을까 노심초사하게 되지요. 왕은 왕대로 외척 세력이 더 늘어날까 고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왕실의 꿍꿍이에 희생당하는 건 엉뚱하게도 흥부의 가족들입니다.
다분히 코믹스런 전개로 시작하던 [수상한 궁녀]는 절정을 넘어서면서 궁중의 권력암투와 그네들의 안중에도 없는 서민들의 애환을 날카로운 풍자로 묘사합니다. 극 중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는 왕의 일갈이었는데 바로 ‘네 놈이 왕실을 아느냐!’하는 대목이었지요. 네, 은막에 가린 무대처럼 일반인이 알 수 없는 왕실 권력암투의 비정함은 이 코믹스런 연극에서 더욱 부각되더군요. 소름이 끼칠 정도로 말이죠.
예나 지금이나 희생당하는건 애먼 백성들입니다. 마지막 흥부의 처는 이렇게 외칩니다. ‘내가 무슨 죄가 있다고!’ 맞습니다. 큰 죄는 없지요. 단지 힘없는 서민일 뿐이라는 것. 그것이 죄가 되는 세태는 변한 것이 없습니다. [수상한 궁녀]는 실컷 한바탕 웃기도 했지만 영 못내 씁쓸한 마음으로 극장문을 나서게 되는 연극입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요즘 연극을 통 못봐서 그런지
2011.11.14 09:20이런 글만 읽으면 보러가고 싶어지네요 ㅎㅎ
부인님과 함께 함 가세요. 여자분들은 영화보다는 연극을 더 선호하시거든요^^
2011.11.14 09:21 신고요즘 처럼 볼만한 영화가 없는 시기(지극히 개인적인 면에서)엔 연극이 더 좋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언젠간 우리에게도 치명적인 매력의 위대한 리더가 나와 민초들을 잘 보살필 수도 있겠죠 ㅎㅎ... 오늘도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2011.11.14 09:48올해는 뭐 기대작들이 거의 죽을 쒔는지라... 연말의 [MI4]하고 [땡땡의 모험] [셜록홈즈 2] 정도가 남았네요.
2011.11.14 10:07 신고독특한 소재와 이야기 전개가 꽤 흥미있어 보입니다.
2011.11.14 10:19조금 비약적인 면도 없지 않으나 풍자적인 내용이 잘 녹아든 작품이더군요.
2011.11.14 10:20 신고재미있겠네요. 코믹한 터치를 좀 더 살리자면 장르적으로 뮤지컬이 좀 더 낫지 않으려나 싶기도 합니다만, 그랬다면 풍자의 맛은 확 줄어들었겠죠.^^
2011.11.14 10:43최근에는 정말 볼만한 영화가 없네요. 그나마 [티끌 모아 로맨스]가 괜찮다고 하여 조만간 보러 갈 예정입니다. 작년 [시라노...] 만큼은 아니더라도 [달콤 살벌...] 정도만 되었으면 좋겠네요.^^;
소재는 좋습니다만 뭐랄까... 평타 이상은 하지 못할 영화같더군요 [티끌모아 로맨스]는...
2011.11.14 12:12 신고엄한 -> 애먼
2011.11.14 13:19연극은 몇번 못봤습니다만 개인적으로 확 좋아지지는 않더라구요.
앞으로는 좀 바뀔런지 모르겠네요.
와이프랑 연말 영화나 몇 편 노려봐야겠습니다.
MI4, 땡땡, 홈즈는 노리고 있는 녀석들이긴 합니다만~ ㅎㅎ
유부남들에게 문화생활의 자유를~ 프리덤~
2011.11.14 16:03 신고흥부네가 자식 많이 낳는 이야기는 여러모로 쓸모가 있네요. 열 다섯을 낳았으면 흥부처가 대단한건지 흥부가 대단한 건지... 근데 왕의 씨가 없는데 아이를 낳았다면 그 아이는 혹시 흥부의 아이인 건가요?
2011.11.14 15:57그것도 연극의 중요한 맥거핀으로 작용합니다^^
2011.11.14 16:04 신고독특한 소재의 재미난 풍자극 같습니다.
2011.11.15 10:01페니웨이님의 글을 보니 보고 싶은 마음이 확 생기는데요. ^^
막 빵빵 터지도록 웃기 위해서는 다른 연극을 택하심이.. 마지막에 급 우울해지는 연극이라서요. 그만큼 풍자성은 뛰어납니다.
2011.11.15 10:14 신고지방 순회 공연이라도 하면 모를까... 언제 볼 수 있을지 기약 없는 작품이네요. 예나 지금이나 불임은 여자보다 남자 쪽에 문제 있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하더군요.
2011.11.18 00:14남자가 나이가 많을수록 문제가 많다고 하더군요. 뭐.. 자세한건 저도 잘.. ㅎㅎ
2011.11.18 09:58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