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츠이 야스타카의 소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원소스 멀티유즈의 대표적인 케이스다. 국내에는 호소다 마모루의 동명 애니메이션으로 더 많이 알려졌지만 1972년 [타임 트레블러]라는 제목의 TV 드라마로 방영된 이래, 1983년 오바야시 노부히코 감독에 의해 만들어진 극장판 영화를 비롯, 이후 다양한 미디어 믹스의 각색을 통해 인기있는 성장극으로 자리잡아갔다. 흥미로운건 원작에서 다루는 소녀의 시간여행이라는 주요 설정을 제외하면 각각의 작품들 사이에 상당한 스토리의 차별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2010년 [시간을 달리는 소녀] 역시 이 점에 있어 예외라고 볼 수 없는데, 이번 작품에서의 주인공은 요시야마 아카리로서 원작의 주인공이자, 지난 2006년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주인공의 이모로 등장했던 요시야마 카즈코의 딸이다. (조금 복잡한가?) 카즈코는 과거에 이루지 못한 어떤 일을 완수하고자 타임리프를 가능케 하는 신약개발에 성공하지만 갑작스런 교통사고를 당해 그만 그 꿈을 놓칠 위기에 처한다. 엄마를 대신해 자신이 대신 그 일을 하겠다고 자청하는 아카리는 실수로 타임리프해야 할 시점보다 2년 후인 1974년의 과거로 오게 된다.
우연히 만나게 된 영화지망생 료타의 도움을 받아 얼떨결에 그의 집에서 같이 살게 된 아카리는 엄마가 건네 준 사진 속의 남자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지만 남자의 행방은 묘연하기만 하고, 심지어 과거의 엄마조차 그 남자를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부탁받은 일을 수행하는 아카리와 그녀를 돕는 료타 사이에는 남녀간의 애틋한 감정이 피어나기 시작하고, 건드려서는 안되는 과거의 시간과 사건에 대한 현실을 마주하며 아카리는 가슴아픈 성장통을 경험한다.

ⓒ Aniplex/ Epic Records/ Style Jam. All rights reserved.
이번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기존의 선배격인 작품들과 유사한 골조를 유지하기위해 타임슬립이라는 SF적인 비중을 줄이고, 소녀의 성장극과 하이틴 무비의 특징을 부각시키는데 무게를 실었다. 특히 1970년대의 풍경을 묘사하는 흥미로운 설정들이 관객들의 눈길을 끌며, 곳곳에 숨겨놓은 미스테리한 설정과 반전을 위한 복선들이 비교적 잘 활용되는 편이다.
그러나 역대 '시간을 달리는 소녀' 중 가장 완성도가 높았던 애니메이션판이 바로 전작에 위치한 탓인지, 몰입도나 마무리에 있어서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데, 특히 타임리프라는 설정을 이용해 반전의 효과를 극대화 시켰던 전작과 비교한다면 다소 빈약한 클라이막스가 실망스러울지도 모르겠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일본영화 특유의 잔잔한 소녀적 감성에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헐리우드적인 로맨틱 코미디나 신파조가 강한 멜로물에 익숙한 관객이라면 지루해 할 가능성이 크다.
애니메이션판의 성우를 맡았던 나카 리이사가 주인공으로 등장하지만 전작과의 연계가 없는 상황에서 별다른 의미는 찾아보기 힘들고, 딱히 뛰어난 연기력을 선보이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촌티가 좔좔 흐르는 료타 역의 나카오 야키요시가 30여년전 과거 속 인물로는 적격인 캐릭터를 맡아 인상적인 모습을 남긴다. 2010 부천판타스틱영화제 상영작.
* 본 리뷰에 사용된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단, 본문의 내용은 작성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무래도 전작인 애니메이션과 비교가 많이 될듯하네요.....
2011.03.25 09:13보고 싶기는 한데....고민이 되는 부분이 많이 생기는군요..
애니메이션을 잊고 보셔야 그나마 잔잔한 일본영화 특유의 감성을 느끼실 수 있을것으로 사료됩니다.
2011.03.25 09:41 신고보고 오셨군요. 전 시사회 초대가 오긴 왔는데, 역시나 못갔습니다. ㅎㅎ
2011.03.25 09:14그러셨군요^^ 직딩이 시사회 시간맞추기란 쉽지 않지요. 저도 작년에 본 작품이라 시사회는 가지 않았습니다만 나카 리이사가 무대인사라도 했다면 만사를 제치고 갔을.. 쿨럭.
2011.03.25 09:42 신고그런식으로 여러번 원작을 재활용했는데도
2011.03.25 09:43신선하게 느껴지는군요
이 영화도 한번 봐야겠습니다.
사실 그 점은 꽤 칭찬해줄만한 점입니다. 그렇게 다양한 작품들이 나왔는데도 실은 리메이크의 개념보다는 스핀오프 내지는 시리즈화 되는 경향이 강하거든요. 각각의 작품들에서 변형되는 플롯들을 즐기는 재미가 있습니다.
2011.03.25 09:48 신고애니메이션 판에 엄청 몰입해서 봤던 기억이 나는군요 :-) 굉장히 감동적이었습니다만... 일본 영화 - 특히 애니메이션과 관계가 있는 작품들은 하나같이 좀 걱정부터 되네요. 흠...;;
2011.03.25 12:02사실 이 부분은 좀 억울한 측면이 있죠. 원작이 소설이고 영화나 드라마로 훨씬 더 많이 제작되었는데, 하필 호소다 마모루가 애니로 대박을 터트렸거든요. 이제 앞으로 [시달녀]를 논할때 애니판과의 비교는 불가피한 상황이 되어버려서..
2011.03.25 12:13 신고저도 이건 애니로 젤 처음 접했는데, 아직까지 애니만한걸 본 적이 없는거 같아요. 애니는 또 봐도 재밌더라고요.. 한번은 헬스장에서 런닝머신 뛰면서 채널 바꾸다 중간부터 봤는데, 특유의 몰입감 때문에15분이나 오버트레이닝을 해버렸죠...(러닝머신에서 55분을 뛰었다는..ㅜㅜ)
2011.03.25 12:20주인공 여자애랑 같이 겁나게 뛰셨군요 ㅎㅎㅎ
2011.03.25 12:21 신고애니에서는 음악도 참 좋았어요.
2011.03.25 16:01엄청 몰입해서 보았다는.
애니판이야 흠잡을게 없죠 ㅎ
2011.03.25 22:18 신고덕분에 미루고 미루었던 애니메이션 판을 꺼내보아야 겠다고 결심을 굳혔습니다.
2011.03.25 17:57헉 아직도 안보셨다니 꼭 감상하시길 권합니다
2011.03.25 22:19 신고헐리우드 영화에 익숙한 저로써는 좀 부담스럽겠군요.ㄷㄷ
2011.03.25 22:03아무튼 저는 아직 못 본 애니나 봐야겠네요.
저는 픽사나 드림웍스에 익숙한지라... 일본애니에 좀 이질감이 생길지도 모르겠군요.
픽사하고는 지향점이 다르죠 다분히 일본애니는 소녀적 감수성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참 눈물나면서도 멍한 한방이 있지요
2011.03.25 22:22 신고그러고 보니 나카 리사는 애니메이션에서나 이번 영화에서나 주인공이잖아요.
2011.03.28 02:00이번 영화가 애니메이션보다는 저평가되고 있는 걸 어떻게 생각할까요?
본인의 연기력을 탓해야죠 ㅡㅡ;; 머 딱히 미모가 뛰어난것도 아니고, 연기력이 좋은것도 아닌 TV용 탤런트같은 느낌이라 배우로서 대성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는 인물같아요.
2011.03.28 09:30 신고애니메이션의 외전 혹은 후편이 되는 영화이기에
2011.04.07 19:15애니의 비중이 꽤 크다고 생각합니다. 애니를 보지 못 한 사람들은
영화속에 내포되어 있는 장소와 대인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영화가 왜 유명할까 라는 생각을 하며, 재미없다라는 단어를 내 뱉을지도 모릅니다.
저는 아직 유학을 떠난 사진사가 누군지 모르지만,
엄마가 타임리프를 이용해, 자신을 찾아오지 않는 남자친구를 찾아가려고 했지만,
사고로 인하여 딸을 과거로 보내고, 남자친구에게 메시지가 닿았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녀는 기억이 지워지고, 주머니속에는 알지못하는 추억이 남아있습니다.
머 결론은 애니를 영화로 리메이크한것이 아니라 후편이라는 얘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