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는 우리 고전만화의 복간작을 '한국만화걸작선'이라는 시리즈로 출간하고 있다. 솔직히, 1년에 5편의 작품은 선정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만 이렇게라도 한 작품씩 내주는게 어디냐 싶기도 하고. 또 그래서 진흥원 차원의 복간 보다는 민간 차원의 복간에 더 기대를 거는 것이겠지만.
뭐 어찌되었건 이번 한국만화걸작선 29번째 작품으로 선정된 만화는 이우정 작가의 [모돌이 탐정]이다. 1970년대 <소년중앙>에서 연재된 작품으로 이후 <클로버문고>를 통해 단행본으로 나왔고 이후 두 차례 더 문고본과 대본소용으로 재복간이 이뤄진 나름의 탄탄한 마니아층을 가진 탐정 모험물이다.
나는 이번 작품에서 작품 해제를 썼는데, [모돌이 탐정] 1권에 실려 있다.
패키지 구성은 나름 신경을 썼다. 고급스런 아웃 케이스에 4권의 양장본으로 된 [모돌이 탐정] 본편이 들어 있고 기존의 한국만화걸작선보다 훨씬 더 좋은 종이를 사용해서 보관성을 높혔다. 지금까지 발간된 한국만화걸작선 중에서는 단연 최고의 퀄리티로 구성된 패키지다.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은 이번 [모돌이 탐정]의 복간 내용이다. 사실 나는 작품 해제를 쓰면서 아직 출간되지 않은 원고본을 자료로 받아 볼 수 있었는데, 작품을 보면서 이전에 봤던 [모돌이 탐정]과는 뭔가 다르다는 이질감을 지울 수 없었고, 작품의 베이스가 되는 작품이 [모돌이 탐정]의 오리지널 원고가 아닌 대본소용 복간본인 [맹코탐정]에 더 가까울 것이라는 점과 이러한 결정이 원고의 유실 때문에 생긴 부득이한 조치인지, 작가의 의중인지를 도무지 가늠할 수 없었다.
아니나 다를까 실제 복간된 [모돌이 탐정]은 올드팬들에게는 꽤나 불편한 작품이 되었는데, 과거의 향수에 젖어있던 독자들에겐 완전히 뜯어 고친듯한 몇몇 장면들과 전개들에서 당황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었지만 이같은 현상은 결국 작가인 이우정 화백의 결정이었으며 작가 본인이 가진 복간본에 대한 정의가 "복간 본은 복간 본의 영역을 다시 구축함이 옳다."는 것이었기에 과거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리뉴얼에 가까운 형태의 복간이 나올 수 밖에 없었던 것.
물론 이러한 복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어서 안제일 작가의 [별나라 삼총사]나 [삼총사 타임머신 001] 같은 작품에서도 작가가 다시 작화를 뜯어 고친 상태로 복간된 적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사전에 작가가 직접 작화 수정을 했다는 안내가 첨부되어 있어 별다른 논란은 없었지만 [모돌이 탐정]에서는 그런 사전 고지가 전혀 없는 상태라 논란이 좀 더 커진 상태다.
이번 일을 통해 나는 복간에 대한 의미와 그 무게감을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었는데, 작가가 생각하는 복간의 지점과 독자들이 받아들이는 복간의 지점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그 중간의 적절한 절충점을 찾지 못한다면 아무리 그 의도가 좋다한들, 그 복간은 실패작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복간의 열쇠는 최종적으로 작품의 디렉터이자 저작권자, 그리고 창조자인 작가의 의중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수 밖에 없고, 그렇기에 복간을 담당하는 PM이 중간에서 조정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는 건 더욱 분명해졌다.
조금 더 글을 쓸 여유가 된다면 복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좀 더 적어보기로 하고, [모돌이 탐정] 복간본에 대한 소회는 여기에서 마친다.
'도서, 만화 > ㄹ,ㅁ,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돌이 탐정] 복간판 맛보기 및 복간에 대한 소회 (2) | 2022.01.15 |
---|---|
로보트 태권브이 마나문고 리프린팅에 대한 고찰 (2부: 차성진 편) (20) | 2020.05.13 |
로보트 태권브이 마나문고 리프린팅에 대한 고찰 (1부) (14) | 2020.04.23 |
로케트보이 - 추억의 로케트 밧데리, 그리고 이정문의 슈퍼히어로 (13) | 2017.08.23 |
비스트 나인 - 거대 로봇과 TS물의 만남 (8) | 2016.11.17 |
별의 계승자 - 이 시대 최고의 하드 SF 추리극 (7) | 2016.10.2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는 맹코탐정 판본으로 봤는데 그때도 오른쪽 그림이었던 걸로 보아 왼쪽은 아예 새로 그리신 것 같군요.
2022.01.21 14:37저정도면 복간이라기보다 리메이크 수준인데... 작가님 의도와 달리 실망하는 사람도 나올 것 같습니다. 안타깝네요.
복간 역사에 큰 변곡점이 되어 버렸죠. 복간본에 대한 해석이 작가마다 다르다는 점, 이게 독자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 역시 작가의 의도와는 다를 수 있다는 점 등 많은 논란이 될만한 일인거 같습니다.
2022.01.29 09:21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