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어로 무비 –조커에게 ‘히어로’라는 칭호를 붙일 수 있는가 싶기도 하지만 사실 이 영화에서 조커는 어떤 의미로든 히어로가 맞다- 사상 최초로 전대미문의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조커]에 대한 기대는 남다를 수 밖에 없다. 일단 폭망해 가던 DC에서 시네마틱 유니버스를 걷어 차 버리고 워너 산하의 독립영화 형식으로 조커 단독 영화를 만들겠다고 했을 때부터 뭔가 심상치 않은 조짐이 느껴지긴 했다.
하지만 근 10년 사이에 관객들은 벌써 두 명의 조커를 접하지 않았나. [다크나이트]의 히스 레저와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자레드 레토. 둘의 평가는 완전히 다르긴 하지만 둘 다 유망한 젊은 배우의 새로운 조커였다는 점에서 이미 보여줄 만큼은 보여주지 않았던가. 왜 또 다른 배우에게 조커를 맡기려는 것일까.
호아킨 피닉스가 열연한 조커는 히스 레저가 연기한 조커에 비해 한층 더 현실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그에게는 ‘이름’과 직업이 있고, ‘가족’도 있으며, 조커의 시그니처인 웃음마저도 그 자신이 주체할 수 없는 일종의 ‘질환’으로 묘사된다. 영화는 사회의 하류층이었던 사내가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자신이 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해 기대왔던 것들이 하나 둘씩 무너지면서 결국 희대의 빌런이 되어 버리는 조커의 기원을 유사 리얼리즘의 형태로 다룬다.
[조커]의 의외성이라고 한다면 조커를 혁명적인 인물로 묘사한다는 점일 것이다. 아니, 스스로가 그렇게 되길 원하진 않았지만 시대가 그를 필요로 하는 그런 존재로 승화시킨다. 그 이면에는 빈부격차의 심화, 복지 시스템의 부재, 타인에 대한 배려의 부족과 같은 현대사회의 병폐가 고스란히 놓여 있다. 비단 고담이라는 가상의 도시를 상정하지 않더라도 이미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가 고담 그 자체인 것과 마찬가지다.
영화가 지향하는 지점이 정치적인 투쟁과 폭력 시위의 정당화까지는 아니더라도, 조커라는 인물에게 관객의 감정을 이입시키려는 시도에서 분명 이 영화는 매우 위험한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북미 개봉시 상영 안전조치를 취하겠다고 난리법석을 떨었던 것도 이제서야 이해가 간다. 확실히 한국보다는 미국같은 나라에 훨씬 더 위협적인 영화다.
영화 자체로만 보자면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사이코 범죄 느와르의 플롯을 따라간다. 이런 류의 영화가 이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냐고 묻는다면 답은 ‘아니오’다. 영화는 분명 ‘조커’라는 이름과 DC 코믹스의 캐릭터에 기초를 두었다는 점에서 많은 빚을 지고 있다. 그리고 배우 호아킨 피닉스에게도.
만만찮은 영화고, 이후에도 많은 담론을 생산해 낼 영화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많이) 불편한 작품이다. 그리고 그 불편함은 호불호의 갈림길에서 불호 쪽으로 기울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본 영화에서 느낄 수 있었던 단 한가지 확신은 고담시의 이야기는 역시나 어둡게 가야 제대로 된 그림이 나온다는 점 일까나.
P.S
1. [코미디의 왕]에서 [택시 드라이버]에 이르기까지 마틴 스콜세지의 초기 걸작에 대한 오마주의 향연.
2. 가장 흥미로웠고, 또 가장 히어로 무비 같았던 장면은 역시나 브루스 웨인이 트라우마를 갖게 된 그 장면.
3. 확실히 DC는 팀업무비 같은 같잖은 마블 흉내보다는 캐릭터나 잘 신경써서 솔로무비로 재미를 보는 편이 나을 듯.
'영화 > 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레이] 제미니맨 - 액션을 따라잡지 못한 드라마 (0) | 2020.03.17 |
---|---|
조커 - 웃기지 못하는 희극인의 혁명가(革命歌) (9) | 2019.10.07 |
[블루레이]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 모범생의 답안같은 쥬라기 월드 (2) | 2018.10.17 |
[블루레이] 저스티스 리그 - DC의 명운을 건 팀업무비 (4) | 2018.04.18 |
[단평] 저스티스 리그 - DCEU의 성급한 결과물 (18) | 2017.11.27 |
[단평] 제5침공- 연출력의 부재가 부른 참사 (10) | 2016.04.1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블록버스터 오락영화라고 생각하고 보러오시는 분들 없길 바랍니다. 전혀 그런쪽이랑은 거리가 멉니다.
2019.10.09 14:22난해한 부분도 많은 영화라 한번 봐서는 모든걸 이해하기 어려울수 있습니다.
그리고 번역가가 <어밴져스 인피니티워> 번역을 했던 박씨라 더 짜증이 밀려올수도 있습니다.
그냥 혼자서 보러오는게 마음 편한 영화인듯 합니다. 이상
벌써 3백만 돌파... 흥행이란 참 알 수가 없어요..
2019.10.11 15:07 신고번역은 정말이지.... 하아...
한국의 영화 번역가 박모씨야 말로
2019.10.12 18:11한국의 마블과 DC 히어로물 팬들에게 영화의 진정한 흑막 빌런 입니다. ㅠㅠ
바빴던 한주여서 개봉일에 챙겨보지 못했는데 이번주에 꼭 시간 내서 보려고 합니다. 한 방송에서 들으니 이 영화는 국가별로 흥행 성적이 제각각이라고 하는데, 그것이 주는 함의 또한 가볍지 않은 듯하네요. DC영화가 그닥 인기를 끌지 못하는 우리나라에서 흥행이 폭발하고 있고, 홍콩 역시 박스오피스 1위라고 하더군요. 페니웨이 님 평을 먼저 보니 더욱 끌리게 되네요 ^^
2019.10.09 20:31(PS 3번은 격하게 동의합니다. 모두가 유니버스에 천착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이후로도 DC는 DC만의 매력을 살리는 방향으로 갔으면 합니다).
기대치는 잠시 내려놓으시고요... 무엇을 기대했던 기대한 그 조커는 아닐겁니다. 오히려 지금 시국이니 흥행이 되는 걸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고요...
2019.10.11 15:08 신고참, 여러모로 할말하않 의 영화죠....
2019.10.10 22:25 신고P.S.2는 전 참으로 그랬습니다.
트라우마가 생겨야 할 중요한 장면인데, 범인이 아빠 이름을 불러버리면... 어... 그거 아니잖아...
음음... 할 말이 더 있지만.. 더 이상은 생략한다....랄까요.
2019.10.11 15:09 신고저렴하게 만든 5천만달러대 제작비 영화로 전세계 10억 달러 흥행 넘겼죠
2019.11.17 10:58문득...기대 모았더니만 3억 달러 가까운 제작비에 미국 흥행은 5천만 달러대에서 벌써 뮝기적 중인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 생각이...
저예산으로 10억 돌파했으니 DC는 다시 눈돌아갈 듯...
2019.11.22 10:49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