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지에 정부로부터 배신당해 쫓기게 된 CIA 하부조직원 조 터너(로버트 레드포드 분)은 비정한 국가권력의 정체를 폭로하기 위해 뉴욕타임즈로 사건관련자료를 보냈음을 CIA 지부장에게 알린다.
- 자넨 지금 걸어갈 수 있지. 하지만 만약 그들이 기사를 싣지 않는다면 얼마나 더 갈 수 있겠나? - 실을 겁니다. - 어떻게 알지?
비웃는 듯한 지부장의 모습을 응시하며 사라져 가는 터너의 불안한 표정. 그리고 정지화상. 명장 시드니 폴락의 걸작 스릴러 [코드네임 콘돌]은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정치인과 권력층의 도덕성에 치명적 손상을 입은 미국사회의 자화상을 드러낸다. 특히 마지막 장면의 쓸쓸한 정지화상은 진실을 알릴 의무를 지닌 언론마저 배신할지 모른다는 극도의 불안과 불신감을 표출하는 명장면이다. 그리고 그러한 일을 이 시대에 실제로 목격하고 있다는 사실이 슬프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항상 있어왔던 위정자들의 모습과 유사하여 참으로 씁쓸하네요... 요즘은 정보가 넘치다 보니 더 많이 자세히 알게되어 그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하죠... 기억 저쪽 한편에 고이 모셔두었던 시드니 폴락, 로버트 레드포드, 콘돌, 게다가 연상작용으로 폴뉴먼 까지~ 오늘도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맘에 갑자기 확 들어오네요.....
2012.02.06 10:18요즘 한국은 언론이 플레이를 해서 진실을 외곡하는 경우가 많아졌죠.
법은 동일한 증거가 여기서는 진짜라고 저기서는 가짜라고 하기도 하는..
멋진~~~ 나라가 되어 가고 있죠
한국 언론의 수준은 참담할 정도이지요.
2012.02.06 18:35 신고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항상 있어왔던 위정자들의 모습과 유사하여 참으로 씁쓸하네요... 요즘은 정보가 넘치다 보니 더 많이 자세히 알게되어 그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하죠... 기억 저쪽 한편에 고이 모셔두었던 시드니 폴락, 로버트 레드포드, 콘돌, 게다가 연상작용으로 폴뉴먼 까지~ 오늘도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2012.02.06 10:23시드니 폴락과 로버트 레드포드의 콤비플레이는 정말 대단했다고 생각합니다.
2012.02.06 18:36 신고뭐, 실시간으로 이미 보고 있는 것인지라...씁쓸할 뿐입니다.
2012.02.06 18:14특정 동물군에 대한 강한 적의와 살의만 늘어가는 요즘이지요.
특정 동물군 ㅎㅎㅎ
2012.02.06 18:36 신고선거가 기다려집니다. 그렇지만 확실한 대안도 없는 현실... 어쨌든 갈아는 봐야겠죠.
2012.02.08 12:20뭐 언론이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한 큰 변화는 없겠지요.
2012.02.08 13:04 신고75년 작품이 우리나라에서 89년에 개봉된것만으로도 숨기고 싶은게 많은가보죠 ^^
2012.02.08 12:21놀라운건 [코드네임 콘돌] 개봉당시 바로 비디오로도 출시가 되었어요. 개봉작 홀드백없이 부가판권으로 동시에 출시되는건 거의 드문일이었죠.
2012.02.08 13:05 신고비밀댓글입니다
2012.02.08 12:21저는 처음 듣는 영화인데도
2012.02.08 18:14 신고이 한 장면과 짧은 글로도 이렇게 공감이 된다니...
그만큼 지금 우리 현실에 들어맞는다는 거겠지요.
씁쓸하네요.
모든 것을 건 주인공... 그리고 언론... 저는 이상하게 장자연이 떠오르더군요.
2012.02.08 18:34 신고국내에 뒤늦게 개봉해서 볼 사람만 봤던 영화......
2012.04.30 21:49꽤 어렵고 충격적인 영환데, 개봉 제목을 저따위로 정해서 공공칠을 생각나게 한 다음,
'뭐야 이거. 생각했던 게 아니잖아?'라고 관객이 외면하게 만든 건 거시기 합니다.
개봉과 동시에 비디오 출시가 이뤄졌던 흔치 않은 케이스죠.
2012.05.01 12:06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