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작열전(怪作列傳) No.91
1962년 007 시리즈의 첫작품 [007 살인번호 Dr. No]가 전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하면서 1960년대 영화계는 일약 첩보물의 시대로 바뀌게 됩니다. 1966년에 개봉된 제임스 코번 주연작 [전격 후린트 고고작전 Our Man Flint]이나 로버트 본과 데이빗 멕컬럼의 콤비가 인상적인 [0011 나폴레옹 솔로] 같은 수많은 아류작의 범람은 007 시리즈의 인기가 어느정도였는지를 실감케 하지요.
ⓒ 20th Century-Fox Film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특히 1967년에는 노골적으로 007을 카피한 작품들이 두 편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언젠가 괴작열전을 통해 다뤘던 패러디물 [카지노 로얄(1967)]이고, 또 하나는 오늘 소개할 [오케이 코네리 OK Connery], 일명 [오퍼레이션 키드 브라더 Operation Kid Brother](미국 개봉명) 혹은 [오퍼레이션 더블 007 Operation Double 007], [비밀 첩보원 더블 오 Secret Agent 00]로도 알려진 작품입니다. 사실 [오케이 코네리]의 경우 국내에 정식으로 소개된 적이 없는 전설의 괴작이기 때문에 무척 생소하신 분들도 많을 줄로 압니다. 이제 이 괴작이 탄생하기까지의 여정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서두에서 언급한데로 아메리칸 시네마의 첩보물 범람은 유럽 전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탈리아의 제작자 다리오 사바텔로는 재빨리 007의 인기에 편승한 작품을 모색하게 되는데요, 그는 누구도 생각치 못한 기발한 아이디어로 계획을 실천에 옮기게 됩니다. 바로 숀 코네리와 8살 차이나는 친동생, 닐 코네리를 기용하기로 한 것이지요. 정말이지 닐 코네리는 형인 숀 코네리와 놀랄만큼 닮은 인물이었습니다. 단 한가지 사실만 빼면 말이죠. 형인 숀 코네리는 이미 인기 절정의 영화배우였던 반면 동생인 닐 코네리는 평범한 건축 미장기술자에 지나지 않았던 겁니다.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하지만 다리오 사바텔로는 닐 코네리를 찾아가 스크린 테스트를 종용합니다. 닐은 자신의 캐스팅이 형의 명성에 편승한 것임을 잘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그것이 영화배우로 성장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리라곤 생각하지 않았죠. 결국 닐은 숀이 [007 살인번호]에 출연할 당시 받았던 게런티보다도 적은 액수로 출연하는데 동의하게 됩니다.
아울러 다리오 사바텔로는 연기경험이 없는 닐의 핸디캡을 커버하기 위해 막강한 조연진들을 캐스팅하게 되지요. 자, 놀라 자빠질 만한 내용은 이제부터입니다. 이 작품에 섭외된 배우들은 놀랍게도 007 시리즈의 오리지널 주역들이었는데요, 먼저 MI6의 초대 M인 버나드 리와 무려 14편의 본드 무비에서 머니 페니 역을 맡았던 로이스 멕스웰이 EON 프로덕션에서 받던 게런티보다도 많은 돈을 받고 출연을 결정합니다. [각주:1]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이것으로 끝났다고 생각십니까? 천만의 말씀. [위기일발]의 본드걸 다니엘라 비앙키와 더불어 [007 살인번호]의 안소니 도슨, 그리고 [썬더볼 작전]의 인상적인 악당 '라르고' 역의 아돌포 셀리 등 정통 007 시리즈에 참여한 배우가 무려 5명이나 등장하는 것이 [오케이 코네리]인 것입니다. 또한 여기에는 안나 마리아 노에 라는 여배우가 로트 크라옌도프 Lotte Krayendorf 라는 이름의 캐릭터로 출연하는데, 이 배우는 [위기일발]에 출연했던 로트 레냐 Lotte Lenya 라는 배우와 꼭 닮았습니다.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오케이 코네리]는 이렇듯 주연인 닐 코네리를 빼고는 1군에 해당하는 라인업이 이뤄진 작품으로서 사실상 캐스팅만으로 본다면 오히려 [카지노 로얄(1967)]보다 더 007 시리즈의 정통성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출마저 테렌스 영이나 가이 해밀톤이 맡았다면 그야말로 기념비적인 괴작이 되었을텐데 아쉽게도 감독은 일련의 마카로니 웨스턴과 호러물 등 잡다한 연출 경력을 남긴 알베르토 드 마르티노가 맡았습니다.
또 놀랄일이 남았느냐구요? 물론입니다. 흔히들 007의 작곡가 하면 존 베리를 떠올리실텐데요, [오케이 코네리]에는 존 베리에 버금가는 영화음악계의 거성, 사운드 트랙의 레전드, 엔니오 모리코네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리도 또 한사람, 엔니오 모리코네와 오랜 동료이자 라이벌 관계였던 브루노 니콜라이도 함께 말이죠.
그럼 [오케이 코네리]는 과연 어떤 내용의 영화일까요?
악의 무리 '타나토스'의 두목 타이(아돌포 셀리 분)가 가공할 만한 신무기-첨엔 핵무기랬다가 나중엔 안티 마그네틱 웨폰이랬다가 왔다갔다-를 개발해 세계를 정복하려는 음모를 꾸미는 가운데, 악당들의 야욕을 분쇄하고자 커닝햄 중령(버나드 리 분)은 영국 최고의 첩보원을 호출하려 하지만 때마침 그의 부재로 인해 성형외과 의사인 닥터 닐 코네리를 찾아갑니다. (네, 극중 이름도 닐 코네리입니다! ) 성형외과 의사이지만 무술에 능하고 활도 잘 쏘며 특히 최면술에 능한 닐은 형을 대신해 세계를 구하기 위한 모험에 뛰어듭니다.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한가지 재밌는건 영화상에서 부재중인 닐 코네리의 형이 분명히 007 제임스 본드가 분명한데도 EON 프로덕션의 라이센스 문제 때문인지 영화상으로는 슬쩍 언급을 회피한다는 점입니다. 가령 두명의 악당인 타이와 알파(안소니 도슨 분)의 대화처럼 말이죠.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타이: 그(커닝햄 대령)를 돕는 젊은 영국인 의사 있잖아, 왜 그...비밀 첩보원 00...알파: (황급히 말을 자르며) 그래, 나도 들었어. 아주 맘에 안드는 가족이지.
암튼 닥터 코네리는 얼떨결에 영국첩보부를 위해 일을 하게 되고 여기에 적인지 아군인지 구별이 안되는 여성 마야(다니엘라 비앙키 분)가 끼어 들면서 영화는 한층 괴상하게 흘러갑니다. 뭐 결국에는 타이의 아지트에 쳐들어가서 모조리 때려부수고 나오는 해피엔딩이 됩니다만 그 전개과정이야 눈물없인 감상할 수 없을만큼 조잡하기 이를데 없죠.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이렇듯 개성없는 스토리의 전형성을 보여준 [오케이 코네리]는 쌈마이스런 제목만큼 무척이나 많은 허점을 가진 작품입니다. 우선 이 작품은 정통 스파이영화의 원류인 007과는 달리 캠피 스타일로 점철된 극악의 내러티브 구조를 보여줍니다. 액션에 있어서 긴장감은 하나도 느낄 수 없고 마치 1960년대의 [배트맨]을 보듯 우스꽝스런 동작 하나하나가 의도하지 않는 웃음을 자아냅니다. 영화에 참여한 각본가는 무려 4명. 사공이 많으면? 네, 배가 산으로 가지요.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게다가 더욱 문제가 되는 건 다름아닌 닐 코네리의 존재입니다. 생긴건 영락없는 숀 코네리인데, 하는 짓은 3류 코미디언이니 관객들은 제임스 본드로 각인된 코네리의 이미지와 상반된 괴리감을 느끼며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고독한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더군다나 닐 코네리가 촬영 당시 성대 혹 제거 수술을 받는 바람에 성우를 기용해 더빙을 맡겼는데, 이것 또한 우스꽝스런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한몫을 더합니다. 왜냐구요? 더빙을 맡은 성우가 이름모를 미국인이었기 때문입니다. 영국 스파이의 미국식 엑센트라니!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원래 제작자 사바텔로는 닐 코네리에게 큰 기대를 걸고 제2의 숀 코네리로 키울 계획까지 세워 놓았습니다. 그는 [오케이 코네리]의 촬영이 끝나면 이어서 몇편의 마카로니 웨스턴에 출연시켜 인지도를 높힐 생각이었지요. 실제로 사바텔로는 [007 두 번 살다]이후 숀 코네리가 은퇴의사를 밝히자마자 잽싸게 EON 측에 닐 코네리를 차기 제임스 본드로 영입할 것을 제안하지만 EON 측에서는 발끈하며 그 제안을 단호히 거절하게 됩니다. 결국 [오케이 코네리]의 실패 이후 닐 코네리는 원래대로 건축 미장일로 돌아왔고 그 이후로 [The Body Stealers]와 같은 저예산 SF영화나 그 밖의 TV 시리즈에 몇번 얼굴을 비춥니다만 그를 기억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게 되었습니다.
한편 형인 숀 코네리는 이런 집안 망신의 상징물 같은 [오케이 코네리]의 필름을 모조리 회수해 폐기하려 했으나 감독의 반대로 실패하게 됩니다. 그러나 막상 당사자인 닐은 자신이 이 작품에 출연했다는 사실을 그냥 담담하게 생각했다고 하는군요. 뭐 숀 코네리의 우려와는 달리 [오케이 코네리]는 지금까지 어떠한 형태로의 비디오나 DVD로도 정식 발매되지 않은, 지구상에서 가장 희귀한 영화 중 하나가 되어 버렸습니다.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All rights reserved.
더불어 엔니오 모리코네와 브루노 니콜라이의 OST 또한 메인 타이틀곡 만을 담은 싱글음반만 발표되었다가 2004년에 와서야 디지모티브(Digimotives)사의 디지털 리마스터링으로 수록곡 전체가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007의 메인테마를 교묘하게 변주한 부분을 비롯해 음악하나만큼은 명불허전의 사운드 트랙이니 사두셔도 좋을 듯 합니다.[각주:2]
ⓒ Digitmovies Alternative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나름 007영화의 클리셰, 이를테면 턱시도 차림의 주인공이 악당과 조우한다든지, 여러 가지 비밀무기를 선보인다든지 하는 익숙한 장면들이 등장하지만 글쎄요.. 이런건 어디까지나 부수적인 요인이지 영화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아니니까요. 그러고보면 최근 대놓고 배끼는 목버스터 전문회사 어사일럼은 참 영리합니다. 적어도 짝퉁영화에 이런 무지막지한 캐스팅과 돈을 투자하진 않으니까 말이죠. 짝퉁은 어디까지나 짝퉁스럽게~
※ 참고: 속편열전(續篇列傳) : 007 위기일발 - 영화계의 최장수 프렌차이즈 시리즈를 향한 교두보
* [오케이 코네리]의 모든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 Produzione D.S. (Dario Sabatello)/ United Artists. 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참 괴작의 세계는 파면 팔수록 새로운 것들이 나오는 군요.....^^ 괴작열전을 보면 상당히 유익한(?)것이 보통 옛날 것들은 정말 최고의 것들만 남아서 막연하게 "옛날엔 말이야... 이렇게 좋았는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예전 것의 막장스러운 부분을 볼수 있다는 것입니다...ㅋㅋㅋㅋ 빛과 함께 그림자를 고찰할수 있다고 해야하나?
2009.11.30 18:30 신고제가 알고 있는 괴작은 무엇이 있을까?? 하고 생각해봤는데 "성룡의 빅타임"(전혀 어울리지 않는 성룡의 연기변신)이나 "하피"(여고괴담 이후 공포영화 붐속에 나온 수준미달 작품) 정도인데.... 이런 오케이 코넬리 같은 진정한 괴작을 보고 있으면 저의 괴작도가 한참 못미치는 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괴작도를 높히시길..
2009.11.30 21:09 신고그, 그런 희귀하디 희귀한 초레어 영화를 페니웨이님은 어떻게 보셨는지요......ㄷㄷㄷㄷㄷ
2009.11.30 19:11 신고그래도 괴작 중에 최강 괴작이네요 ㅋㅋㅋㅋㅋ
출연진이 ㅎㄷㄷ한 데다가 주연이 007 동생이고......와우 ㅋㅋㅋㅋㅋ
다 보는 수가 있읍죠.
2009.11.30 21:09 신고ㅍㅎㅎㅎㅎ 이렇게나 야심찬 괴작이라니, 그저 웃음만 터져나오는군요.^^
2009.11.30 19:46 신고거 참... 배우 경험 없는 건축기술자를 주연으로 쓰다니 너무 야심이 지나쳤던 게 탈이지 싶습니다.ㅋㅋ
어사일럼에서 무려 <스타트렉 비기닝>을 베낀 영화를 기획 중이라는 루머를 들었는데,
왠지 이쪽이 무지하게 궁금해 죽겠습니다.ㅎㅎㅎ
[스타트렉 비기닝]은 모르겠고 [아바타]를 베낀 [PRINCESS OF MARS]는 출시예정입니다. ㄷㄷㄷ
2009.11.30 21:12 신고어라... 프린세스 오브 마스는 타잔으로 유명한 버로우즈의 소설 아닌가요? 그 소설을 영화화할 계획이 있다고 들었는데, 어사일럼에서 먼저 괴작화로 선수를 치려는 건가요?
2009.12.01 17:40 신고원작이 없습니다...-_-
2009.12.02 18:17 신고즉, 오리지널 스토리로 만드는 거니 [아바타]짝퉁일 확률이 높은 거죠...굳이 [아바타]개봉일 며칠 전에 출시하는 꼴도 그러고요...
넵
2009.12.19 21:55 신고무려 픽사에서 <화성의 존 카터>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중인 '화성의 공주'를 목버스터로... 만드는거죠... 아아아... orz
OK 코네리군요.
2009.11.30 22:30 신고전 사운드트랙을 소개하는 블로그에 들어갔다가 이 작품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됐습니다. 확실히 모리코네 옹은 좌절스러운 영화에서도 인상적인 음악을 만들어 낼 줄 아시는 신이 내린 다작주의자.. (그 괴이했던 레드 쏘냐도 음악만큼은 멋졌지요.)
엔니오 옹의 음악세계를 보면 경이로움 그 자체. 그 연세에도 최근 [인글로리어스 바스터즈]에서의 포스란 ㄷㄷㄷ
2009.12.01 10:50 신고KBS 명화극장으로 본 기억이 납니다. 저 정도 캐스팅을 할 거면, 좀 더 스토리에 신경을 써야되지 않았나 싶어요.
2009.12.01 00:01 신고(돈 때문에 출연했겠지만) 저 영화에 얼굴을 비친 007 시리즈 출연진들이 불쌍하더군요.
엥. 이걸 명화극장에서 했다구요? 헐퀴...
2009.12.01 10:50 신고네, 맞습니다.
2009.12.01 15:23 신고이영화가 80년대 후반 KBS 제 1TV 에서 일요일밤 명화극장에서 했었읍니다.
당시 중학생이었던 저는 어려서 그런지 참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납니다.
007의 동생역으로 나와서, 최면술과 입술을 읽는 능력및 독심술로 적들을 섬멸하던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이 주인공이 실제 숀코넬리의 동생이었군요.....
오... 80년대 후반이라.. 제가 한창 열공할 당시라 못본듯.. ㅜㅜ
2009.12.03 09:56 신고진짜 재미있는 경우군요. 유명 배우의 동생이라는 이유로 배우도 아닌 사람을 잡아다가 영화를 찍다니...
2009.12.01 16:46 신고거기다가 퍼부은 돈은... 캐스팅이며 스탭이며 돈 꽤나 때려박았겠는데 영화는... 크
숀 코네리가 이 작품의 씨를 말리려 했다는 대목에서 피식... 크크
그럴만도 하겠군요. 정말 말 그대로 집안 망신이라 할 수 있으니... ^^
P.S. "[오케이 코네리의] 경우" 대괄호씨가 자리를 잘못 잡으셨군요.
자기가 출연한 영화를 패러디한 작품에 친동생이 출연했으니 이 무슨 해괴한 일이겠습니까.
2009.12.03 09:57 신고1. 조연은 초호화 캐스팅인데 주연이.....-_-;
2009.12.01 22:39 신고완벽한 형이 없었으면 닐 코네리도 배우로 대성했을지 모르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어쩌면 이지만....)
2. 혹시 OSS 117 시리즈 보신적 있으신가요?
http://en.wikipedia.org/wiki/OSS_117
http://en.wikipedia.org/wiki/OSS_117:_Le_Caire_nid_d%27espions
OSS 117도 시리즈가 한두편이 아니라 다루기가 불가능합니다.
2009.12.03 09:58 신고요즘에 Jean Dujardin가 나온 시리즈로 하시면....
2009.12.03 22:19 신고리뷰만으로도 공황에... 헉헉
2009.12.01 22:47 신고OST와 영화에 모두 흥미가 느껴지는군요. ㅠ.ㅠ
OST가 명작입니다.
2009.12.03 09:58 신고명화극장에서 저도 본 기억이 납니다. 내용이나 그런게 남는다는 건 아니고 어디까지나 봤다는 기억 뿐이지만. 숀 코넬리 동생인 줄은 몰랐네요. 그나저나 코넬리 동생이라고 해서 영화판에 집어넣으려는 생각은 대체...
2009.12.02 02:41 신고이탈리아 영화계니까 가능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참 희안한 나라에요 ㅡㅡ;;
2009.12.03 09:59 신고근데 막상 사진으로 보면 정말 꼭 닮았다는 느낌은 조금 약하네요^^ 그나저나 이 영화 TV로도 했다니ㅋㅋ 재미있네요~
2009.12.02 15:19 신고그래요? 사진으로 봐도 정말 똑같이 생겼는데..
2009.12.03 09:59 신고전 흰양복 중간에 서있는 포스터.. 작은사진으로 보고서는 노홍철인줄알았어요;; 무한도전 맴버들 그림그려놓은거 그런건줄알고 피식했는데 ㅠㅠ
2009.12.06 12:45 신고웃겨죽겠네요 ㅋㅋㅋ
2010.01.11 10:21 신고얼마전에 우연히 닐 코네리의 최근 사진을 본 적이 있습니다. 정말 숀 코네리와 은근히 닮았더군요
2010.03.17 00:00 신고그 수염하며 붉은 뺨까지-_-
완전 쌍둥이라니까요 ^^
2010.03.17 17:32 신고이거 007 얘기가 나와서 그런데 혹시 <007 문레이커>를 괴작열전에 올리실 의향은 없으십니까? 이것도 참 물건인것 같은데-_-
2010.03.22 02:19 신고여러번 의뢰가 들어왔으나... 포기한 작품입니다. ㅎㅎ
2010.03.22 18:31 신고상당히 많이 밀린 글 정주행하려니 눈이 빠지겠네요. ㅋㅋ. 지적 하나 하자면 '헛점'이 아니고 '허점'이 맞을 겁니다.
2010.10.17 23:15 신고오랜만에 오셨습니다^^
2010.10.19 22:50 신고이 영화 확인해보니 VHS는 정식 출시를 했던데요?? 하나는 Operation Double 007이란 제목으로 하나는 Secret Agent 00으로요.
2011.07.23 18:20 신고어디서 확인하신 정보입니까?
2011.07.23 18:43 신고아마존 사이트에서 중고로 팔고 있었어요.....
2011.07.24 13:45 신고확인해보니 확실히 있긴 있군요. 1996년에 발매된 것으로 나오는데.. 표지에 나오는 배우는 전혀 다른 배우고 디자인자체도 좀 쌈마이 스러운것이 정식 발매가 아닌 Boootleg버전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 물건에 대해서는 좀더 조사를 해봐야 겠네요 ㅎㅎ
2011.07.25 09:50 신고그런데 안소니 도슨은 007 살인번호에서 닥터 노 역이 아니라 덴트 교수 역을 맡지않았나요???
2011.09.10 16:05 신고맞습니다. 닥터 노는 조셉 와이즈먼이죠. ㅎㅎ
2011.09.11 00:02 신고마르티노 감독이 만든 홀로코스트 2000은 재밌게 봤는데 이건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2011.10.01 08:33 신고그리고 페니웨이님 제가 이 영화 비디오를 구매했는데 정식인지 아닌지 헷갈리네요... 출시사는 Magnum Video입니다. 그런데 오타가 많아요 아돌포 셀리를 Adulto Celi로 커버에 써있더라구요....
원래 이 바닥이 이름에 오타 많이 생깁니다. 심지어 영화본편에도 오타작렬하는 경우가 태반.
2011.09.26 17:30 신고희한하게 제가 요즘 찾는 영화엔 아돌포 셸리가 나와요...Diabolik 68,Ten Little Indians 74,L'Alibi 69,Holocaust 2000 77,Grand Slam 67,slalom...
2011.10.09 11:38 신고다시 확인해보니 이 영화 국내 비디오 출시를 했네요...제목을 완전 다르게 해놓으니 출시한 줄 몰랐네요...
2013.05.13 21:25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