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작열전(怪作列傳) No.58
2008년 극장가의 최대 화두는 뭐니뭐니해도 역시 '슈퍼히어로'가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언맨]으로 솔로 홈런을 친 헐리우드 영웅들은 [인크레더블 헐크], [핸콕]으로 연속 안타를 기록하더니만 급기야 [다크 나이트]로 만루홈런을 때리고야 말았지요. 하지만 [다크 나이트]의 엄청난 성공은 사실 예상밖의 만만찮은 부작용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가깝게는 바로 직전에 개봉했던 [헬보이2]에게 나타났는데요, 오프닝 주말 박스오피스의 1위를 기록하며 기세등등하게 출발했건만 바로 다음주에 개봉한 [다크 나이트]에 밀려 순식간에 5위로 추락한 후 떡실신이 되어 가시권에서 영영 사라져 버리게 되었습니다. 더군다나 [슈퍼맨 리턴즈]의 후속편인 [맨 오브 스틸]의 경우 제작 자체가 [다크 나이트]의 완성도를 의식해 백지화 될 정도로 그 후유증이 대단합니다.
ⓒ D.C characters/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슈퍼히어로의 제작은 절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미 유니버셜측에서는 꿈의 프로젝트인 [어벤저스]를 위한 포석을 이미 [인크레더블 헐크]와 [아이언맨]에서 깔아놓았고, 2011년 에는 [캡틴 아메리카]를 개봉해 한층 더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또한 [왓치맨]이나 [스피릿]같은 그래픽 노블의 슈퍼히어로도 개봉을 앞둔 시점이라 당분간 극장에서 슈퍼히어로를 보는 일은 계속될 듯 합니다.
솔직히 요즘같이 영화기술이 발전한 시대니까 슈퍼히어로물이 제대로 폼나는 작품들이 나오는 것이지 예전같으면야 어림도 없는 일이긴 합니다. 2000년대 이전에 나온 슈퍼히어로 영화 중에 그나마 성공했다고 인정받는 작품은 리처드 도너의 1979년작 [슈퍼맨]과 팀 버튼의 1989년작 [배트맨]이 고작일 정도로 아날로그 시절의 슈퍼히어로물은 완성도가 별로 높지 않았습니다. 아마 [스파이더맨]이 8,90년대에 만들어졌다면 제 아무리 샘 레이미 감독이라도 그 정도의 완성도를 보여주기는 힘들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뭐 어찌되었건 1990년대도 나름 많은 슈퍼히어로물이 나오긴 했습니다. 팀 버튼의 [배트맨 리턴즈]를 필두로 조엘 슈마허로 바톤이 넘어간 배트맨 시리즈가 무려 4편까지 나왔고, [스폰]이나 [쉐도우], [크로우], [블레이드] 같은 마이너 성향의 히어로들이 제작된것도 1990년대 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한편을 소개해 보도록 하지요.
1930년대 [Mandrake the Magician]이란 작품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던 리 포크는 아더왕의 전설과 엘 시드, 조로와 타잔, 그리고 '정글북'의 모글리에 이르는 신화적 구성물을 한데모아 새로운 '크라임 파이터' 스타일의 슈퍼히어로를 창조하기로 결심합니다. 1936년 2월 17일 'The Singh Brotherhood'라는 에피소드가 일간지를 통해 공개되면서 '팬텀'이라는 히어로가 처음 등장하게 되지요. 국내에서는 훗날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팬텀 2040]이란 작품이 MBC에서 공중파를 탄 적이 있습니다.
ⓒ King Features Syndicate INC. All Rights Reserved.
'팬텀'은 여러모로 일반적인 히어로들과는 다른 점을 가진 캐릭터입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1인 히어로가 아닌 여러 세대의 팬텀이 한 이름을 공유해 나간다는 점인데요, '팬텀'의 기원은 무려 15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선대의 팬텀이 밴더족 원주민에게 은혜를 입고 그의 아버지를 죽인 '생 조합'과 맞서기 위해 영웅이 된 이래, 계속해서 비밀리에 아버지-아들의 후계구도를 유지해 옴으로서 오늘날까지 팬텀으로 행세하고 다니는 겁니다. 덕분에 팬텀은 죽지 않는 불멸의 존재라는 설화까지 생겨날 정도로 꽤나 족보있는 영웅이 되어 버렸습니다. (현재 27대 팬텀이 활약중이라는 말이... ㅡㅡ;;) 그러니 설정상으로는 최초로 코스튬을 입고 돌아다닌 슈퍼히어로라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어디까지나 설정상으로만)
또한가지 특이점은 다른 슈퍼히어로들이 나름 미국의 한 도시에서 정착해 활동하는 데 반해서 팬텀은 아프리카의 치안을 수호하는 존재라는 겁니다. 그래서인지 원주민들은 팬텀을 '걸어다니는 유령 (The ghost who walks)'이라는 미신적인 호칭으로 부르고 있죠. 물론 후대에 와서 뉴욕으로 이주하긴 합니다만...
ⓒ King Features Syndicate INC. All Rights Reserved.
이 독특한 설정의 '팬텀'이 실사화 된 것은 1943년의 일이었습니다. 15편의 에피소드로 나뉘어진 시리얼 무비(Serial Movie, 연작 영화)로 제작된 [더 팬텀]은 B. 리브스 이슨이 메가폰을 잡고 톰 타일러와 진 베이츠가 주연을 맡은 흑백영화입니다. 저예산으로 계획된 이 작품에서는 당시 연재되던 코믹스판 팬텀의 본명인 킷 워커라는 이름대신 조프리 프레스캇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데요, 내용은 잃어 버린 도시 'Zoloz'를 찾아나선 악당 맥스 브래머 박사의 야욕을 제지하기 위한 팬텀의 활약을 담고 있습니다. 정글이 주무대가 된 탓인지 매회마다 각종 부비트랩과 함정이 등장하는 모험영화의 성격을 담고 있지요.
ⓒ Columbia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세월이 흘러 제작사인 콜럼비아에서는 1955년 이 작품의 속편인 [팬텀의 귀환(Return of the Phantom)]의 제작에 착수 합니다. 안타깝게도 전작의 주인공 톰 타일러가 1년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주연은 존 하트로 교체되었는데요, 설상가상으로 콜럼비아가 가지고 있던 '팬텀'의 판권이 만료됨에 따라 제작진은 급작스럽게 영화의 설정을 모조리 바꿔야 했습니다. 그렇게 등장한 것이 [캡틴 아프리카의 모험(The Adventures of Captain Africa)]입니다. (짝퉁 '캡틴 아메리카'의 냄새가.. ㅡㅡ;;;)
전편과 마찬가지로 [캡틴 아프리카의 모험]은 총 15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시리얼 무비였습니다. 급작스럽게 설정을 변경해야 했기에 기존에 만들어 놓았던 팬텀의 의상을 약간 개조하는 식으로 모든 것을 조금씩 수정하는 바람에 사실상 이 작품은 [더 팬텀]의 실질적인 속편으로 인정하는 추세입니다. 물론 주인공 캡틴 아프리카는 마스크를 쓴 정부측의 요원이라는 설정으로 바뀌었구요, 가장 흥미로운 것은 에피소드를 통틀어 메인 악당이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Columbia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한편 DC 코믹스나 마블 코믹스의 작품들과는 달리 '팬텀'은 수차례 출판사를 바꿔가며 출간되어야 했습니다. 1940년대에는 에이스 코믹스에서 출간되던 것이 1950년대에는 하비 코믹스에서 출간되었고 1960년대는 골드 키 코믹스와 킹 코믹스를 거쳐 1980년대에는 DC 코믹스와 마블을 통해 출판되기도 했습니다. 참 복잡하지요? 그럼에도 '팬텀'은 꽤 인기가 있어서 북미지역뿐만 아니라 유럽 각 지역과 호주, 인도, 터키, 태국, 싱가폴, 피지에 까지 정식으로 출간되어 인기를 누렸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팬텀의 영화화에 대한 열망은 다른 나라에서도 꽤 간절했던 모양입니다. 왜냐구요? 위에 언급한 나라들 중 한 곳에서는 적어도 3편에 이르는 '비공식 팬텀'을 영화화했기 때문입니다. 이 비공식적인 영화들은..... 어이쿠! 시간이 벌써 이렇게 됐네요. 더 자세한 점은 다음시간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본 리뷰의 모든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괴작열전(怪作列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작열전(怪作列傳) : 하워드 덕 - 조지 루카스가 탄생시킨 사상 최강의 오리 히어로 (63) | 2008.10.13 |
---|---|
괴작열전(怪作列傳) : 팬텀 - 사상 최초의 코스튬 히어로는 누구? (2부) (44) | 2008.09.29 |
괴작열전(怪作列傳) : 팬텀 - 사상 최초의 코스튬 히어로는 누구? (1부) (43) | 2008.09.22 |
괴작열전(怪作列傳) : 퓨전 쿵푸 - 고전 무술영화의 헐리우드식 엽기적 합성물 (33) | 2008.09.08 |
괴작열전(怪作列傳) : 큐티하니 - 나가이 고, 안노 히데아키의 괴상한 만남 (2부) (38) | 2008.08.25 |
괴작열전(怪作列傳) : 큐티하니 - 나가이 고, 안노 히데아키의 괴상한 만남 (1부) (42) | 2008.08.1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 이거 영화 제가 초딩때(어쩌면 중딩때...) tv에서 하길래 재밌게 봤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네요...
2008.09.22 12:15아마 MBC방영본을 말씀하시는듯..
2008.09.22 12:18 신고별로 괴작 아니던데요.....
2008.09.22 12:16아 물론 캐서린 제타 존스를 부하로 거느리고 있는 악당이 좀 부럽고 캐서린 제타 존스랑 어울려 쌈박질하던 빌리 제인이 좀 많이 부러웠고(이쁘네 했는데 나중에 보니 캐서린 제타 존스라더군요) 빌리 제인은 너무 느끼해서 히어로랑은 어쩐지 좀 안맞고 팬텀이 말타고 달릴때 느닷없이 애마부인이 연상돼 당황스럽긴 했지만요...
그나저나 90년대에 스파이더맨을 만들었으면 제임스 카메론이 맡았을테니 모르긴 몰라도 시각효과에 대한 기술력은 한단계 더 올랐을 거란 생각도 드는군요.
말씀하신 부분들이 모두 괴작스런 분위기 아닙니까 ㅡㅡ;;
2008.09.22 12:18 신고뭐 판단은 각지의 몫이니, 2부나 기대하세욧!
팬텀 못지않은 '쉐도우' 도 한번 리뷰해주세요.
2008.09.22 13:36나중에 기회가 되면요..^^
2008.09.22 14:10 신고팬텀2040.. 저도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나는군요.^^
2008.09.22 14:01이젠 추억의 만화죠^^
2008.09.22 14:11 신고저는 피터정하면 이온플럭스보다 팬텀이 바로 떠오르더군요..재밌었어요 ^^
2008.09.22 14:49코믹스나 애니메이션의 팬텀은 나름 흥미로운 캐릭터죠^^
2008.09.22 15:48 신고아직까지는 괴작의 냄새는 안나네요...

2008.09.22 16:56그나저나 오늘도 절묘한 글 끊기...
2부를 기다릴수가 없습니다...[<=야!]
그리고 팀버튼의 1998작 [배트맨] 오타가 있네요
오타지적 감사드립니다^^ 2부를 기대하세요~
2008.09.22 23:40 신고아직도 기억나는 보라색 쫄쫄이의 압박...;;;
2008.09.22 19:142부에서 적나라하게 다루도록 하죠.
2008.09.22 23:40 신고또 절단신공이시군요. ㅋ
2008.09.22 21:47제 삶의 낙입니다.
2008.09.22 23:40 신고팬텀이 더 유명하긴 하지만 전 마술사 만드레이크가 최초의 코스튬 슈퍼히어로라고 봅니다.(미국 쪽 몇몇 사이트도 그런 견해를 가지고 있고요.) 우선 복장 자체가 뤼팽스러운 마술사 연미복에 팬텀보다 2년 앞서는 34년에 나왔고 DC 코믹스의 자타나를 뛰어넘는 슈퍼능력(진짜 마법을 씁니다.)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2008.09.22 22:0680년대에 나온 애니메이션 디펜더즈 오브 더 어스(지구수비대)에서도 만드레이크와 플래쉬 고든, 팬텀이 팀을 이루는걸로 나오죠. 뭐, 쓸데없는 잡소리긴 하지만. 사실 팬텀이 그나마 메이저하고 쫄쫄이의 원조라는 점 등 헷갈리는 문제긴 합니다. ^^
음.. 뭔가 오해가... 여기서 최초의 코스튬 히어로라는 의미는 작품이 발표된 연도가 아니라 1500년대부터 활동해 온 팬텀의 설정상의 역사를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2008.09.22 23:44 신고캡틴 아메리카 영화는 2011년 예정입니다. 2009년은 각본가 파업 때문에 마블영화가 예정된게 없고 2010년에 토르와 아이언맨 2가 나오죠. (제작된다면 말이지만)
2008.09.22 22:28팬텀 2040은 그냥 코믹스 쪽 팬텀의 증손자뻘 되는 별개의 히어로가 미래도시에서 깝치는 얘기니까 전혀 딴 작품으로 보는게 예의일 듯. (김전일과 킨다이치 코스케의 관계랄까 OTL)
그나저나 캡틴 아프리카라니...네이밍 센스가 우허허허;;;;
제가 이 포스트를 준비한게 좀 오래전 일이라 수정이 좀 덜 됬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8.09.22 23:44 신고이럴수가! 슈퍼맨이 백지화가 되었군요. 헬보이도 나름 즐겁게 봤는데 역시 대세는 놀란인가 봅니다.
2008.09.23 00:20나름 [맨 오브 스틸]을 기대했었는데 허탈합니다. 브라이언 싱어 외에 어떤 대안이 있다는 것인지.. 워너 측의 결정이 내심 불안하군요.
2008.09.23 09:30 신고보라색 쫄쫄이는 저의 꿈이자 이상이었다죠 ㅎㅎ
2008.09.23 00:57그나저나 팬텀의 과거도 참 화려(?)했군요;;ㅋ
보라색 쫄쫄이가 이상형이었다니~ 러브네슬리님의 취향이.. ㅋ
2008.09.23 09:30 신고훗.....기다렸습니다 괴작열전. 비디오를 가지고 있는 팬텀이라니....참ㅋㅋㅋㅋㅋ뭔가 전 왜이렇게 괴작비디오가 집에 많은것일까요.......타이타닉의 빌리제인이 초 구려보였습니다;;
2008.09.23 11:53호오.. 팬텀 비디오를 소장하고 계시다니... tama님에 대해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2008.09.23 18:57 신고꺄아~ 마블이다 ㅋㅋ 너무좋아 마블~
2008.09.23 12:55저는 마블보다는 D.C쪽이...^^;;
2008.09.23 18:57 신고국내에서 방영된 팬텀2040만을 본저로서는 흐... 색다른 느낌이네요. 애니는 꽤재미있게 봤었는데.. 영화들은.. 포스터들부터가.. 후.... 그리고 중간에 적으신 캡틴아메리카 짝퉁 이란 표현은 설마 차기 괴작열전 광고 +_+a 어째든 이래저래 늘상~ 재미있게 보고갑니다.
2008.09.23 18:23아무리 저라해도 캡틴 아프리카를 입수하기는 좀 어려울 듯 한데요...^^;;
2008.09.23 19:00 신고팬텀이라...이름은 예전에도 들어 봤는데(최초의 슈퍼히어로, 악당을 추격할 때 택시를 타고 추격하는 설정 등으로)
2008.09.23 18:31영화는 보지 못했네요(원작 코믹북은 말할 것도 없고, 팬텀 2040도 마찬가지).
그런데 페니웨이님께서 팬텀을 소개시켜 주신다...그것도 페니웨이님의 트레이드마크, 괴작열전에서... 기대해 보겠습니다.
참, 페니웨이님. 앞으로 괴작열전에서 다세포소녀(현재 '네이버 영화'에서 평점 2.16으로 전설이 되었음), 아유레디(예스터데이, (예전에 이미 이곳 괴작열전에서 소개가 된)성냥팔이 소녀의 재림과 함께 2002년 충무로의 3대 대재앙으로 손꼽힌 작품) 같은 작품을 소개시켜주실 생각은 없나요?
ㅋ 소개할 영화들은 많으나 제 내공이 다 소화해내질 못해서..^^;; 검토는 해 보겠습니다~
2008.09.23 19:02 신고비밀댓글입니다
2008.09.24 01:03그저 굽신굽신~
2008.09.24 08:01 신고이 작품이 왜 괴작열전에 안 올라오나 했습니다 ㅋㅋㅋ
2008.09.24 21:17개인적으로는 재미있게 봤었는데 말입니다 ㅋㅋ 궁극의(?) 보라색 전신타이즈가 아직도 어른어른하네요ㅋㅋ
역시 팬텀하면 떠오르는게 타이즈 코스튬이군요^^
2008.09.24 23:55 신고제인마치와 캐서린 제타 존스가 나오는 팬텀이군요. 괴작은 정도는 아닌것 같고 당시에 괜찮게 봤는데 히어로 영화로써 배트맨이나 슈퍼맨이랑은 견줄수는 없군요.
2008.09.29 13:30샘 레이미의 스파이더맨 시리즈를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트루라이즈 전이나 후에 스파이더맨을 만든 다는 소식을 접하고 계속 기다려 오다가 어느날 갑자기 개봉한 스파이더맨의 그 소박함을 보고 너무 실망했지요.
터미네이터나 트루라이즈의 그 과격하고 상식밖의 스케일을 기대하다가 너무 아동틱한 그 분위기를 보고 안타까울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당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를 스파이더맨으로 아놀드 슈왈츠제네거를 닥터 옥토퍼스로 기용하고 만든다던 제임스 카메론의 프로젝트가 실현됐으면 어떻게 됐을지 궁금합니다.
최고의 히어로 영화는 역시 78년작 리처드 도너의 "슈퍼맨"과 89년작 팀버튼의 "배트맨"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스파이더맨은 실사영화로 만들기에는 기술적인 부담이 엄청났다고 합니다. 그나마 CG의 힘을 얻어 탄생한 결과물이 소박하다고 말씀하신 그 정도인거지요.
2008.09.29 14:04 신고역시 슈퍼히어로하면 [슈퍼맨]만큼 대단한 작품도 없습니다. 1978년에 그정도 완성도라니...
약간의 의문점이 있습니다^??
2010.06.12 22:53분명영화 팬텀에선 21대 팬텀이 1938년에 활약을 했었는데
이때 그의나이는 적너댜20초반입니다
그런데 약 100년후인 2040년에 24대 팬텀은 18세입니다
글구 23대가2 016년에 메트로피아에 왔구요
그리고 22대가 현재의 활약을 하면 21대는 적어야 70대정도고요
제가 알기론 21대가 부인을 만난건 40년대일텐데 연대가 상당히 맞지않습니다^^
21대이후에 팬텀은 모두 원작자가 만든게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