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에게 무고한 의심을 받아 본 적이 있는가? 잘못을 저지르거나 죄를 졌다면 벌을 받는 것이 순리이지만 하지도 않은 일에 책임을 져야하는 것만큼 미치고 환장할 일도 드물다. 불법을 저질러 놓고도 사법 체계를 요리조리 빠져나가며 재주를 부리다가 어쩌다 잘못이 드러난들 여전히 고개를 빳빳히 들며 여봐란 듯 노블리스 행세를 하는 사람들이 지천에 널렸는데, 하지도 않은 일에 누명을 쓰면서 죄를 추궁당한다면 그 속은 얼마나 타들어 갈까.
사법부의 판단력과 공정성, 그리고 양형기준에 대한 뭇 백성들의 신뢰도가 아무리 바닥에 떨어졌다지만 막상 닥치고 보면 그래도 법정에서 모든 진실이 가려지리라 믿는게 우리 힘없는 약자들의 모습이 아니겠는가. 하지만 과연 현실은 어떨까?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는 [쉘 위 댄스]나 [으랏차차 스모부] 같은 코믹 히트작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정작 작품 활동에 있어서는 상당히 뜸한 행보를 보여온 수오 마사유키 감독이 10년만에 발표한 신작이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장기인 코미디를 벗어나 진지한 노선을 택했다. 그것도 사회성 짙은 법정 드라마로 말이다.
ⓒ Fuji Television Network/Toho Company/Altamira Pictures Inc. All rights reserved.
검찰측과 변호인측이 치열한 진실공방을 벌이다 막판 뒤집기로 반전을 꾀하는 헐리우드식 법정영화의 틀에 익숙한 관객들에게 있어서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는 대단히 생소한 느낌의 영화다. 이미 제목에서 풍기는 뉘앙스에서 알 수 있듯 이 작품에서 판결의 내용은 이미 나와있는 것과 다름 없다. 영화의 목적은 진실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 99.9%의 유죄추정을 전제해놓고 진실을 유추하겠다는 사법제도의 불합리한 관행을 폭로하는 것이다.
주인공 텟페이(카세 료 분)는 중요한 면접시험이 있는 당일 지하철에서 치한으로 몰려 현행범으로 체포된다. 정황상 자신에게 불리한 조건이긴 하지만 그는 무죄를 주장한다. 그런데 상황이 묘하게 돌아간다. 가장 먼저 자신을 보러온 국선 변호인은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만내면 아무일 없이 조용히 끝날 것이라고 넌지시 충고한다. 자신은 무고한데 어떻게 유죄를 인정하라는 것인가. 고지식한 텟페이는 이 불합리한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끝내 길고도 고독한 싸움을 해야하는 지극히 '상식적인' 방법을 택한다.
ⓒ Fuji Television Network/Toho Company/Altamira Pictures Inc. All rights reserved.
영화는 이 기나긴 1심공판의 진행과정을 2시간 30분에 걸쳐 매우 객관적인 측면에서 여타의 감정적 동요를 배제한채 차분히 전개해 간다. 지루하지 않느냐고? 천만에. 나는 이 작품처럼 몰입도 높은 법정영화를 보지 못했다. 영화는 기존의 법정영화들이 보여주지 못했던 리얼리티에 상당부분을 할애한다. 유치장 내 수감자들의 생활부터 법정에 들어선 인물들의 대사와 사소한 동장 하나하나까지 완벽히 짜여진 캔버스 위에 배치시킨 수오 마사유키의 역량에 연신 감탄사가 나올 정도다. 무엇보다 절대권력 앞에서 한없이 무력한 약자의 모습을 진지하게 연기해낸 카세 료의 연기가 있었기에 이 영화는 훨씬 설득력있게 그려졌다.
사법제도의 불공정이 비단 이 땅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는 사실에 조금은 위안아닌 위안을 삼을 수 있는 영화이긴 하지만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는 대단히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하긴 영화속 대사처럼 사건의 진실을 알고 있는건 신 아니면 피고 뿐이니 이 썩어빠진 세상에서 제3자가 진실을 가려낸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것일지도. 10점만점에 10점을 주고 싶은 법정영화의 걸작.
*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의 모든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 Fuji Television Network/Toho Company/Altamira Pictures Inc. 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법정이라고 해서 법정스님을 지칭하는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
2010.03.31 09:51설마요..^^;;
2010.03.31 17:47 신고아..이 영화..^^ 현실이죠..
2010.03.31 09:57현실이라 더 분노했다능... --+
2010.03.31 17:47 신고장르나 내용이 제가 특별히 좋아하지는 않는 쪽이긴 한데...
2010.03.31 11:15 신고워낙 강하게 추천하시니 마음이 동하는군요.
페니웨이님의 뽐뿌질에 넘어가서 후회한 적은 아직 한 번도 없으니... 크크
글 제목은 <그래도 내가...>인데
본문 중에는 전부 <그래도 나는...>으로 쓰셨네요.
그리고 <으라차차 쓰모부> 오타 있습니다.
이 영화..정말 수준높습니다. 일본영화의 저력이랄까요. 품격있는 영화가 뭔지를 보여주더군요.
2010.03.31 17:48 신고앗 궁금해지네요
2010.03.31 16:53한번 봐야겠어여
꼭 보세요. 다음영화 사이트에서 유료컨텐츠 판매도 하더라구요.
2010.03.31 17:48 신고정말 그렇게까지 썩었는 줄 몰랐습니다. 엔딩조차도 씁쓸해서....
2010.03.31 17:44부들부들 떨었다죠.
2010.03.31 17:48 신고흠... 그나마 죄질(?)이 낮은 편에 속하는 내용이네요.
2010.04.01 09:45혹시나 저는 살인죄 누명을 뒤집어 쓰고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극구 자신의 죄를 부인하는...
내용으로 봤는데...
내용을 못봐서 그렇지만... 사형제 제도 폐지의 의미도 부여 할 수 있을까요?
오히려 그런 내용보다는 훨씬 현실에 더 가깝죠. 사법계의 법관들이 가진 정치적 성격이라든지, 유죄추정 99%를 놓고 진실게임을 벌여야하는 아이러니 등 소시민이 겪을 수 있는 실세 상황이 소재라는 점에서 충격의 강도가 더 강합니다.
2010.04.01 09:52 신고으... 왠지 보면 괴로울 영화 같다는 생각이...
2010.04.01 16:28전 누명은 써본 적은 없지만 왠지 저런 상황은 상상만 해도 끔찍합니다......
생각해보니 아예 없는 건 아니네요. 누명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고의적으로 절 괴롭히기 위해 어떤 여자애가 제가 하지도 않은 짓을 부풀려서 다른 애들 보는 앞에서 저한테 욕하던 기억도 있고... 그때 생각만 하면 속에서 열불이.... 좀 상관없는 기억들이긴 합니다만.
댓글들 봐도 막 그렇게 밝은 엔딩은 아닐 거 같고... 우울할 때 보면 충격이 클 거 같은 영화겠네요.
제가 가장 싫어하는 것 중에 하나가 내가 하지도 않은일에 대해서 문책을 당할때입니다. 아주 그땐 머리끝까지 화가 치밀지요 ㅜㅜ
2010.04.03 23:42 신고몰입도가 상당히 높다니요! 보고나면 부들부들 떨겠죠?ㅎㅎ
2010.04.02 00:56꼭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꼭 보세요. 정말 의미심장한 영화입니다.
2010.04.03 23:43 신고저도 이 영화 참 좋아합니다. 수오 마사유키 감독님은 참 간만에 하나 씩 내놓으시는데도 내공이 대단하셔서 그런지 좋아요 좋아. ㅎㅎ 저도 페니웨이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내가 하지도 않은 일에 대해 문책 당할 때' 화가 엄청나는 사람이라서요. 억울한 것 못 견디는 사람이라. 최근에 정말 수년 만에 꺼이꺼이 서럽게 울었던 날이 있는데 사소한 일이지만 모르는 걸 모른다 했는데 상대방이 넌 알고있다!고 우기는 바람에 억울해서 서럽게 울었더랬죠. ㅎㅎ
2010.04.06 04:27제가 아마 영화의 주인공이 겪은 일을 겪는다면 정말 억울해서 홧병으로 돌아가실 듯.
저는 수오 마사유키 영화라면 무조건 필관람하는지라..기존 작품들과는 장르가 전혀 다른데도 [그래도 내가..]는 정말 놀랄만큼 훌륭한 영화였습니다. 일본의 사법체계도 저렇게 어이없는 면이 있구나 싶은게 인간의 법은 한계가 있더라구요. 결국 억울한 놈만 당하는 거겠죠. ㅠㅠ
2010.04.06 09:25 신고확실히 일본사법제도에 관한 일본국민들 의 불신을 잘 담아낸 작품이라고 들었습니다
2010.04.07 00:21주변에 아는 일본사람에게 물어보니 정말 과장이 아니라 저 유죄추정 99%가
일본 사법체제의 현재진행형 이라고 하더군요
근데 문제는 우리나라가 일본 사법체계를 벤치마킹 했으니 단순히 일본만의
문제가 아닌듯해 씁슬하네요~
그러게요... 슬픈 현실이에요. ㅠㅠ
2010.04.07 09:58 신고10월1일자로 EBS에서 방영하는것을 보고 코멘트남겨봅니다.
2011.10.01 03:05일단 급한용무 다제쳐놓고 볼정도로 몰입되었습니다... 엔딩을 보고 처음 나온말은
"어이없네 씨.."이하 생략 이였습니다. 아직 어린저로서는 이 일본드라마를 완벽히
이해한다는 것 은 무리가좀 있겠지만, 한가지 명확하게 드는생각은. "
판결이란것을 과연 인간이 할 수 있는가" 라는 물음입니다 저에게는 아직 물음뿐 답이 없습니다..
다만 억울하다는것이 저런것이구나 몸소 느낄수 있는 기회가 된거같네요.. 머릿속이 복잡해서
정리가 안되 답답하기도 하지만 간과할 부분은 아닌것은 확실한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