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해보면 [한국 슈퍼 로봇 열전] 1,2권을 쓰기 된 출발점은 이런 거였습니다.
그 옛날 전국구로 유명했던 능력개발의 [로봇대백과]나 다이나믹 콩콩의 수많은 미니백과들. 특히 그 당시 다이나믹 콩콩에게 부와 영광(?)을 안겨 준 계기는 바로 1권인 [로보트 대집합]이었지요. 베이스는 일본 책을 그대로 들여온 것인데, 표지와 초반부만 살짝(!) 태권브이 관련 콘텐츠를 끼워 넣어서 나름의 로컬라이징 판본을 완성. 아마도 이 녀석이야말로 국산 로봇을 다뤄준 최초의 로봇백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아직도 꾸준히 이런 류의 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가령 [슈퍼로봇도감]이란 이 책은 로봇마니아가 보기에 정말 끝장나는 책이에요. 시대를 풍미한 로봇들의 멋지구리한 화보나 프라모델 소개는 물론 대략적인 설명도 나와 있거든요. 이거 한 권이면 뭐… 어지간한 로봇은 거의 한번씩 훑는다고 봐야죠. 예전에 책을 쓰면서 국산 로봇의 표절 코드를 참고 하기 위해 일본에서 공수해 왔는데 하아~ 보면 볼 수록 감탄이 튀어 나오는...
[전일본 아니메로봇대전집]도 그런 류입니다. [슈퍼로봇도감]이 좀 세련되고 묵직한 느낌의 책이라면 [전일본 아니메로봇대전집]은 문고본 사이즈, 말하자면 과거 미니백과처럼 그런 가벼운 느낌의 책입니다. 다만 좀 더 상세히 다루기 때문에 연대별로 나뉘어 출간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죠. 이렇게 보니 일본에서 로봇들이 정말 많이도 나왔더군요. 이러니 그 옛날에는 이 중에 하나 갖다 써도 뭐 어때…라는 생각이 들었을 것도 같은…
뭐... 부럽습니다. 그냥 부러워요. 저런 책들이 한 두 권도 아니고 정말 많이도 나옵니다. 뿔뿔히 흩어진 판권 허가를 받아서 실을 거 다 싣고.. 진짜 로봇 백과사전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만큼 판권 정리도 잘 되어 있고, 또 판권사도 매우 협조적이란 얘깁니다. 더욱이 저 중에 맘에 드는 로봇이 있으면 프라모델을 구입할 수 있는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고… 오덕들의 천국이 따로 없….;;;;
가끔 인터넷을 서핑 하면서 [한국 슈퍼 로봇 열전]의 서평을 읽곤 하는데 어떤 분이 그런 말을 썼더라구요. “로봇의 제원이나 배경 등에 대해 자세히 써 놨으면 좋았을 텐데 그런 게 없다” 뭐 이런 뉘앙스였어요. 근데 그건 사실 제가 할 일은 아니죠. 국내에는 영상물 판권조차 정리가 안되어 있는데, 심지어 그 중 상당수는 흑역사 에요. 그렇게 안 한 게 아니라 못한 겁니다. ‘슈퍼로봇대전’ 같은 게임을 만들만한 실력있는 개발자가 없는게 아니라 만들 수 없는 것 처럼요.
여튼 좀 부럽습니다. 사실 기회와 능력, 여건이 갖춰지면 90년대 이후의 특촬물부터 시작해 최근의 [헬로 카봇]이나 [터닝메카드] 같은 국산 로봇을 총망라하고 싶은데, 여기서부턴 네…. 문제가 좀 복잡해지죠. 뭐 그런 겁니다.
현실이 이런 고로 앞으로도 당분간… [전한국 애니메이션 로봇대전집] 같은 나오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제는 "국내 유일의 로봇 전문서"인 [한국 슈퍼 로봇 열전: 만화편]이 기대만큼 잘 안팔리는….. -_-;;;
![]() |
한국 슈퍼 로봇 열전 : 만화편 - ![]() 페니웨이 지음, lennono 그림/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슈퍼로봇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에 등장한 한국 슈퍼 로봇, 거신대전: 바람의 신주 소개 (6) | 2019.01.11 |
---|---|
한일간 슈퍼 로봇 서적에 대한 짧은 잡설 (10) | 2018.10.10 |
웹툰 [캉타우]에 대한 주절주절 (6) | 2018.08.17 |
롯데리아 마스터 태권브이 피규어 개봉기 (5) | 2017.08.02 |
[한국 슈퍼로봇 열전: 만화편]을 발간했습니다 (36) | 2017.06.02 |
씨네21에 [한국 슈퍼로봇 열전]이 소개되었습니다 (6) | 2017.04.12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태그 "책 안팔려"의 압박이[............]
2018.10.10 23:53 신고1편은 3쇄까지 찍었는데.. 2편은 1쇄도 완판이 안.... ㅜㅜ
2018.10.12 09:58 신고#속편의 흥행실패는 이런 기분이었구나
허 1편하고 2편 판매량이 그렇게 차이나나요?
2018.10.12 16:49애니메이션과 만화책의 차이인 걸까요.
저런 류의 책은 몇년 전에 자쿠 대사전이니 짐북이니 하는 것들이 국내 발매된 걸 사면서
참 주인공 기체도 아니고 야라레 메카만 가지고도 책까지 만드는구나 대단하다 생각했었죠.
그에 비해 우리나라 상황은 정말 아쉽네요. 페니웨이님 책 상황도 포함해서요. ㅠㅠ
확실히 만화편이 좀 더 마니악하고... 만화라는 매체가 더 소모적이라서 그런가 봅니다^^;;;
2018.10.15 17:38 신고주... 주변에 많이 홍보하겠습니다 ㅠ.ㅠ
2018.10.12 21:48가...감사합니다 ^^;;;
2018.10.15 17:39 신고[한국 슈퍼 로봇 열전 : 만화편]의 경우, 애니메이션과는 다르게
2018.10.12 23:16 신고만화책을 보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선정된 만화 작품도 보는 사람만 본 마이너 작품이라 더욱 더...
만화책이 더 마이너하다기 보단... 지금 시점에서 마니아듦만 볼 수 있는 아이템이 되어버렸다는게 문제겠죠. 제가 늘 마음 아픈 부분이기도 한데.. 지금은 유투브니 뭐니 애니메이션을 구할 수 있는 루트가 많지만 만화책은 그게 안되서리...
2018.10.15 17:40 신고페니웨이님의 책은 오로지 책 자체와 수록작에 대한 사람들의 향수에 승부를 걸지만 일본에서 나오는 저런 책들은 수록된 작품들의 굿즈나 영상 소프트를 홍보하는 카탈로그 역할도 하기 때문에 판권사도 적극적이고 나가기도 좀 많이 나간다고 볼 수 있죠. 그만큼 저변 인구가 넓고 데이터가 잘 관리되고 있는 거기도 하니까 확실히 부럽지만ㅠㅠ
2019.01.10 23:25그렇지요. 한국은 부가 컨텐츠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라 더 그렇긴 합니다. 뭐 그래도 슈퍼 태권브이니 썬더에이니 하는 것들은 지금도 피규어가 만들어지고는 있죠. 어찌저찌해도 최신 디자인으로 리파인해서 표절색을 지우기만 하면 피규어 자체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는 없어서... 로보트킹 같은 경우는 어찌될까 궁금했는데 이 부분도 크게 태클이 들어오진 않는거 같더라구요.
2019.01.11 09:34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