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ㄱ

그래비티 - 우주를 경험하는 90분간의 황홀경

페니웨이™ 2013. 10. 22. 09:00
반응형

 

 

 

 

 

 

 

[그래비티]는 우주에서 보이는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 위에서 우주 비행사 맥 코왈스키가 시시껄렁한 농담을 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또 한 명의 우주 비행사 라이언 스톤 박사가 허블 망웡경을 수리하면서 휴스턴의 미션 콘트롤 센터와 통신을 주고 받습니다. 위험천만해 보이는 일이지만 이들에게 있어 고요한 우주에서의 일상은 그저 평온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내 영화는 무중력 상태의 우주에서 위기를 맞이하는 생존 스릴러로 돌변합니다.

사실 최근에 우리는 꽤 많은 조난극을 접해왔습니다. 대니 보일의 [127시간]이나 이안 감독의 [라이프 오브 파이], M. 나이트 샤말란의 [애프터 어스], 그리고 2013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 [올 이즈 로스트]까지 고립된 인간의 생존투쟁을 그린 작품이 최근들어 부쩍 늘어나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비티]는 그 중에서도 뭔가 특별합니다.

막상 그 특별함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딱히 한 문장으로 꼬집어낼 표현이 생각나진 않습니다. 굳이 진부한 표현을 쓰자면 극사실주의적인 SF영화라는 점? 아니, 아니에요. 이것도 아닙니다. 분명 [그래비티]가 사실적인 SF영화임에는 틀림없지만 이 영화를 돋보이게 하는 요소는 그렇게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하지가 않습니다.

ⓒ Warner Bros. All rights reserved.

 

사실 [그래비티]의 이야기는 무척 심플합니다. 오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야기가 심플하다는 것이 내러티브가 허접하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는 아니니까요. 분명 [그래비티]는 조난당한 우주비행사가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이는 단순한 내용일 뿐입니다. 그 과정이 그렇게 드라마틱하지도, 대단한 반전을 주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영화가 주는 감동과 서스펜스, 그리고 흡입력은 기대를 뛰어 넘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기술적인 요인 때문인데, 영화는 정말이지 90분간 관객을 우주 공간의 한가운데에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킵니다. 가령 소리의 매개물질이 없어 폭발음이 들리지 않는 표현기법이나 감독이 [칠드런 오브 멘]을 통해 이미 선보였던 롱테이크의 경이로운 현장감은 [그래비티]에서 주인공이 처한 상황을 100% 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리얼리티를 선사합니다.

아마도 이 작품을 관심있게 지켜본 분들이라면 [그래비티]는 아이맥스에서 봐야 제 맛이라는 얘기를 들으셨을텐데, 그 이유는 [2012]나 [트랜스포머]처럼 시각효과의 짜릿한 쾌감을 느끼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우주의 광활함에서 오는 경외심, 그리고 그 엄청난 스케일 속에 인간의 왜소함을 시각적 체험으로 느끼기 위해서입니다. 말하자면 볼거리와 영화적 완성도를 별개로 생각할 수 밖에 없었던 여타의 블록버스터와는 달리 [그래비티]의 기술적 시도는 영화의 내러티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는 셈입니다.

ⓒ Warner Bros. All rights reserved.

 

아울러 배우의 연기는 [그래비티]의 완성도에 절대적인 요소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 작품의 러닝타임 절반 이상이 1인극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연을 맡은 샌드라 블록의 연기내공이 어느 정도인가를 짐작하실 겁니다. 이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의 영광을 맛본 그녀이지만 [스피드] 이후 딱히 임팩트가 남는 영화가 없다는 핸디캡을 감안할때 [그래비티]는 그녀의 연기 인생에 정점을 찍는 작품이 아닐까 싶네요.

영화의 주제의식에도 남다른 면이 있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헐리우드 영화가 추구하는 영웅주의나 말초적 쾌감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오로지 인간의 '생존' 그 자체에만 줄기차게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데, 그렇다고 이 작품이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처럼 엄청난 철학적 담론을 담은 건 아니지만 영화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많은 은유와 메시지를 가지고 많은 사색거리를 만들 수 있는 건 분명합니다. (그러한 담론 중에는 영화의 전체 과정이 생명을 잉태해 출산에 이르는 과정을 은유했다든지 하는 것들입니다만 아직 영화를 못 본 분들을 위해 자세한 점들은 생략하겠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SF영화들이 온갖 외계인에서부터 로봇이나 인공지능, 바이러스까지 다양한 수단으로 인간들을 위험에 빠뜨렸습니다만 [그래비티]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단순한 사건을 통해 깊이 있는 생존 드라마를 연출해냈습니다. 아마 이 작품이 내년 아카데미에서 작품상을 탄다 해도 별로 놀라지 않을 겁니다. 적어도 저에게는 [그래비티]가 "The movie of the Year"되지 않을까란 조심스런 추측을 해 봅니다.

P.S:

1.알폰소 쿠아론 감독은 크리스토퍼 놀란이나 제임스 카메론 같은 상업영화의 거장과는 또다른 지점에 서 있는 거장이 된 것 같습니다. 작가주의와 작품성, 그리고 대중성을 모두 갖추기란 쉽지 않은데, 쿠아론 감독은 비 헐리우드 출신으로서는 매우 드문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2.이 영화의 스핀오프(?) 격인 조나스 쿠아론 감독의 [아니가크]를 보고 싶더군요. 아, 조나스 쿠아론은 알폰소 쿠아론의 아들입니다.

3.능글맞은 미중년의 이미지는 조지 클루니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듯. 원래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맡을 뻔한 배역이었는데, 제작지연으로 스케줄이 비어있던 클루니가 이 자리를 꿰찼다더군요. 개인적으로는 로다주도 이 역에 꽤 잘 맞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4.휴스턴 센터 직원의 목소리는 에드 해리스입니다.

5.[스타워즈]의 그 유명한 대사, 'I have a bad feeling about this'가 두세차례 패러디됩니다. '공상과학물'인 [스타워즈]의 완벽한 대칭점에 있는 [그래비티]에 이런 농담을 들을 수 있다는건 유쾌한 경험이죠.

 

*  본 리뷰에 사용된 스틸 및 사진은 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 소유됨을 알립니다. 단, 본문의 내용은 작성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반응형